•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머스크, 우크라 스타링크 재정지원 요구…美 "스페이스X와 논의 중"(종합)

등록 2022.10.15 18:42:3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머스크 "무한정 자금 지원할 수 없어…불합리 하다"

스페이스X, 미 국방부에 유지 비용 내달라고 요청

우크라 "스타링크는 필수 인프라"…통신망 유지 희망

美 "스페이스X와 소통 중"…머스크 제안 검토 시사

[서울=AP/뉴시스]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를 통해 운석 충돌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공유했다. 2022.08.31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AP/뉴시스]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를 통해 운석 충돌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공유했다. 2022.08.31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이종희 기자 =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우크라이나에 무료로 제공해온 위성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재정 지원을 요구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스타링크가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 정부는 머스크의 요구를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14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 CNN에 따르면 머스크는 이날 트위터를 통해 우크라이나를 돕는 데 사용한 과거 비용 보상은 원하지 않는다면서도 "기존 시스템에 무한정 자금을 지원할 수 없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일반 가구보다 데이터 사용량이 최대 100배 많은 수천 대의 단말기를 추가로 보낼 수 없다"며 "이는 불합리하다"고 말했다.

그의 트윗은 스페이스X가 우크라이나에 제공한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에 대한 비용을 미국 국방부에 요구했다는 CNN의 보도 이후 나왔다.

CNN이 입수한 문서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지난달 미 국방부에 서한을 보내 "올해 남은 기간 비용은 1억2400만 달러(약 1777억원) 이상, 향후 12개월 동안은 3억8000만 달러(약 5447억원)에 육박할 수 있다"며 미 국방부에 이 비용을 대신 내 줄 것을 요청했다. ‘

또한 "우크라이나에 단말기를 더 기부하거나 기존 단말기에 무한정 자금을 지원할 수 있는 처지가 아니다"고 설명했다.

서한엔 발레리 잘루즈니 우크라이나군 총사령관이 지난 7월 단말기 8000여 개를 추가 지원해 달라고 직접 요청한 내용이 포함됐다.

스페이스X 외부 컨설턴트는 별도의 서한에서 "스페이스X는 매우 어려운 결정에 직면해 있다. 나는 그들이 잘루즈니 총사령관의 요청대로 단말기를 추가로 지원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할 재정적 능력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의견을 밝혔다.

또 지금까지 약 2만 대의 스타링크 위성을 우크라이나에 기부했으며 "스페이스X에 8000만 달러의 비용이 들었다. 올해 말까지는 1억 달러를 넘을 것"이라고 밝혔다.

스페이스X가 만든 스타링크 위성 인터넷 단말기는 우크라이나가 전쟁 중 인터넷망과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준 중요한 통신망이다.

음성 및 문자 등 통신 뿐만 아니라 군사 목적의 드론 비행을 돕거나 타깃을 수정하기 위해 영상을 다시 전송하는 데에도 사용됐다. 우크라이나 정부와 군대는 물론 민간인과 국제 단체들도 이 단말기에 의존해왔다.

우크라이나 정부 고위 인사들은 머스크가 스타링크를 유지해 줄 것을 희망했다.

미하일로 페도로프 우크라이나 부총리는 트위터를 통해 "머스크는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세계 최고의 기부자 중 하나"라며 "스타링크는 인프라의 필수적인 요소"라고 말했다.

미하일로 포돌랴크 대통령 보좌관은 "솔직히 말해 머스크 덕분에 우리가 전쟁의 가장 중요한 순간들을 넘길 수 있었다"며 "우리는 해결책을 찾을 것이며, 협상이 끝날 때까지 통신망이 연결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스페이스X와 스타링크 문제를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사브리나 싱 미 국방부 부대변인은 "스페이스X로부터 스타링크 재정 지원 요청을 받았다. 계속 소통 중"이라면서도 "전장에 필요한 것을 지원하는 문제라면 스페이스X 뿐만 아니라 다른 업체와도 협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도 "국방부는 우크라이나가 필요로 하는 것을 지원할 방법에 대한 모든 옵션을 살펴보기 위해 동맹 및 파트너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