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광주연구원 "무안 통합공항, 소음영향지역 추가보상 필요"

등록 2024.06.18 16:48:51수정 2024.06.18 18:04:5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광주연구원 '광주정책포커스' 발간…소음대책·지원 방안 담겨

무안민간·군공항 이전…전체 면적 4.2%·인구 1.9% 소음 영향

[무안=뉴시스] 무안 민간·군 통합공항 개발 구상도. (사진=공항 소음대책토론회 발제자료).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무안=뉴시스] 무안 민간·군 통합공항 개발 구상도. (사진=공항 소음대책토론회 발제자료).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뉴시스]  류형근 기자 = 광주 민간·군공항을 전남 무안공항으로 이전할 경우 무안지역 전체 면적의 4.2%, 인구 1784명이 소음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됐다.

광주연구원은 지난 4월 24일 열린 '무안 민간·군공항 이전시 소음대책 마련 토론회'에서 발표된 내용을 보완한 '광주정책포커스'를 발간했다고 18일 밝혔다.



광주정책포커스는 무안통합공항 건설의 기본 방향으로 '서남권 관문공항으로 개발' '지역주민 자율 의사로 이전부지 결정' '소음영향 대책 및 보상' '공항도시 조성' 등을 제시했다.

통합공항(군공항)의 입지는 현재의 무안국제공항 인근이 '군사작전 적합성'과 '공항 입지 적합성' 측면에서 최적지로 선정됐다는 외부 전문가와 연구원 차원의 분석한 결과가 담겼다.

군공항 건설의 사업규모는 부지면적이 15.3㎢(463만평·광주군공항 1.9배)이며 광주 군공항 소음영향권(85웨클 이상)을 토대로 피해지역을 분석한 결과 각각 19.0㎢와 1784명으로 분석됐다. 무안군 전체 면적의 약 4.2%이며 인구는 1.9%에 해당한다.



또 무안통합공항은 해안에 위치하고 인구 밀집도가 낮은 지역에 위치해 광주 군공항 소음피해(2023년 기준) 인구 5만4000명에 비해 3.3%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책자에는 군공항 이전에 대비한 소음영향 저감 대책으로 '군공항 부지 확장' '소음완충지역 조성' '비행제한시간 설정' '비행경로 조성' 등이 제시됐다.

광주연구원 양철수 매력도시연구실장은 "군공항 건설시 토지 등 보상 대상은 15.3㎢이지만 필요에 따라 85웨클 이상 소음영향 지역을 전부 보상하기 위한 추가 보상 방안도 필요하다"며 "무안통합공항 건설을 통해 무안지역이 국토 서남권 관문도시, 공항복합 첨단도시, 동북아 관광 교류도시로 거듭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gryu77@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