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GPS 교란·도청 막고 스텔스기 찾는 양자기술…민·관·군 공동 개발한다

등록 2024.06.27 14: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과기정통부, 국방부와 '민관군 양자정보협의회' 출범

기술 개발 협력체계 구축…군용 양자 기술 개발 검토

[서울=뉴시스]한미 공군이 비행하는 모습. (사진=합동참모본부 제공) 2022.10.0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한미 공군이 비행하는 모습. (사진=합동참모본부 제공) 2022.10.05.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정부가 보안성이 뛰어난 양자암호통신, GPS 교란 영향을 받지 않는 양자항법, 스텔스까지 탐지하는 양자레이더 등 우리 군(軍)에 도입하기 위한 양자과학기술 개발 검토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방부와 공동으로 양자과학기술의 국방분야 적용·확산을 위한 '민관군 양자정보협의회'를 27일 출범한다고 밝혔다.

양자과학기술은 양자역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기존 기술의 이론적 한계를 돌파하는 초정밀 계측(양자센서), 양자기기 간 초신뢰연결(양자통신), 초고속연산(양자컴퓨터) 등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최근 정부는 양자과학기술을 3대 게임체인저 중 하나로 육성하고 있다.

미국 국방부는 국방기술전략에서 양자과학기술을 14대 국방 핵심기술의 하나로 선정한 바 있다. 영국도 국가양자전략에서 양자센서의 국방적용을 목표로 설정했으며, 프랑스는 양자항법의 해군 수상 함정 적용계획을 발표하는 등 해외주요국은 양자과학기술의 국방 적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양자과학기술의 국방분야 적용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과기정통부는 작년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전략'의 7대 추진방향 중 하나로 '국방·안보 도입 추진'을 포함했다. 국방부는 작년 10대 국방전략기술 중의 하나로 양자과학기술을 선정해 기술의 국방 적용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더해 양자과학기술의 빠른 개발과 국방적용을 지원하는 부처간 강력한 연계 및 협력체계를 구축하고자 과기정통부-국방부 주관 민관군 양자정보협의회도 출범하게 됐다.

이는 2024년 4월 체결한 과기정통부·국방부 장관간 국방과학기술 협력 MOU 후속조치다. 양자과학기술 개발과 산업창출, 국방혁신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협의회는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과 국방부 기획조정실장, 미래양자융합포럼 학계 의장·산업계 의장이 공동 의장을 맡는다. 이에 더해 방위사업청과 육군, 해군, 공군, 연구계 및 학계와 산업계 등 30개 기관에서 참여한다.

협의회는 정보교류 및 협력과제 발굴, 제도 및 규제의 2개 분과를 운영하게 된다. 물리적으로 도청을 원천 차단하는 양자암호통신의 국방적용, GPS 교란 시 정밀항법이 가능한 양자중력센서 기반 양자항법과 스텔스 물체를 탐지할 수 있는 양자레이더 등의 개발에 대해 검토할 예정이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기존 기술의 한계로 인한 불가능을 가능하게 하는 양자과학기술이 첨단기술기반 강군 건설에 기여할 수 있도록 본격적으로 논의를 시작할 시점"이라며 "앞으로 민관군 양자정보협의회를 통해 국방부와 상시적 수준의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국방분야의 양자과학기술 실증·전력화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