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정부, '바이오 특화단지' 인천·대전·춘천·화순·안동 등 5곳 지정

등록 2024.06.27 14:33:55수정 2024.06.27 16:34:5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11개 지역 특화단지 신청…선도기업·투자 고려 선정

인천 세계 1위 메가클러스터…대전, 신약 R&D 거점

타임아웃제·규제완화·세제·예산·전력인프라 등 지원

[세종=뉴시스]바이오 분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그래픽이다. (사진=산업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바이오 분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그래픽이다. (사진=산업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손차민 기자 = 정부가 인천·경기 시흥, 대전, 강원 춘천·홍천, 전남 화순, 경북 안동·포항 등 5개 거점을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6차 첨단전략산업위원회'에서 바이오 분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국가첨단전략기술 신규 지정 및 변경 계획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부터 3개월 동안의 공고 기간을 거쳐 11개 지역이 바이오 특화단지에 신청했다. 정부는 이 중 선도기업 및 투자규모, 산업생태계 발전 가능성과 지역 균형발전 등을 고려해 5곳을 꼽았다.

인천·시흥 지역은 세계 1위 바이오 메가 클러스터를 목표로 세계 최대 생산기지 및 기술 초격차를 위한 글로벌 거점을 조성할 방침이다.

인천은 단일도시 기준 세계 최대 바이오의약품 제조역량인 116만5000L 규모를 갖추고 있는데, 오는 2032년까지 2배(214만5000L)로 확대할 계획이다.

다만 전력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관련 인허가 등을 해소하는 조건으로 지정하며, 정왕지구는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된 이후 지정하려고 한다.

대전(유성)의 경우 혁신신약 연구개발(R&D) 오픈이노베이션 거점을 목표로 특화단지를 조성한다. R&D 기반과 기술력을 보유한 선도기업군을 바탕으로 2032년까지 블록버스터 신약 2개 개발 등 기술혁신 및 신약 파이프라인을 창출한다.

강원(춘천·홍천)은 인공지능(AI) 기반의 신약개발과 중소형 위탁개발생산(CDMO) 거점을 마련한다. AI 헬스케어 글로벌혁신특구 등 바이오 인프라와 항체산업, 디지털헬스케어·의료기기 등 주변지역과의 연계·확장을 통해 바이오산업의 발전을 추진한다.

전남(화순)은 화순 백신산업특구 등 집적된 인프라를 기반으로 'R&D-(비)임상-백신제조' 생태계 조성을 통해 안정적인 백신 생산과 면역치료 산업 혁신 생태계를 구축한다.

경북(안동·포항)은 안동 바이오생명 국가첨단산단 등 인프라와 포스텍 등의 기술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바이오·백신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추진한다.

지정된 바이오 특화단지에는 인허가 신속처리(타임아웃제), 규제 혁파, 세제·예산 지원, 용적률 완화, 전력·용수 등 기반시설을 포함한 지원이 이뤄진다.

여기에 특화단지의 조성·운영을 위한 범부처 지원 협의체도 운영된다. 바이오 특화단지별 맞춤형 세부 육성계획은 올해 하반기에 마련할 계획이다.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한덕수 국무총리가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4.03.27. kmx1105@newsis.com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한덕수 국무총리가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4.03.27. [email protected]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