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건전성 강화 효과봤나…저축은행 연체율↓
2021년 12월 이후 10분기 만에 하락
PF 정상화 펀드 등 부실채권 매각 영향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4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저축은행 간판이 보이고 있다. 상위 20개 저축은행의 1분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체율이 11% 대로 지난해 1분기 보다 6.65%포인트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2024.06.04. [email protected]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저축은행 업권의 연체율은 약 8.3%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지난 3월 말 8.80% 대비 0.5%포인트 가량 감소한 것으로 2021년 12월 이후 10분기 만에 하락세다.
저축은행 연체율은 2021년 4분기에 전분기 대비 0.28%포인트 떨어진 2.50%를 기록한 이후 줄곧 상승곡선을 그려왔다. 2022년 말 3.41%에서 지난해 말 6.55%로 껑충 뛰더니 올해 1분기에는 8%대를 넘어섰다.
경기회복 둔화와 경기침체 등으로 거래자의 채무상환능력이 저하된 영향이다. 연체율 산정시 모수가 되는 여신의 감소도 연체율 상승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부실채권 매각 등 적극적인 관리가 없으면 연체율이 10%대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이 저축은행에 적극적인 부실채권 매각을 압박하면서 연체율이 소폭 하락하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저축은행 업계는 지난 3월과 5월에 각각 330억원, 5100억원 규모의 저축은행 부동산 PF 정상화 펀드를 조성해 부실채권 매각에 나섰다. 부실채권 투자전문회사(F&I)를 통해 지난달 말 1360억원 규모의 개인 무담보·개인사업자 부실채권 매각도 마무리했다.
앞서 금감원은 5월과 6월 연체율이 높은 일부 저축은행들을 대상으로 현장점검에 나선 바 있다. 연체율 관리가 미흡한 저축은행들에 대해 적극적인 부실채권 정리를 압박하는 차원이었다.
금감원은 자난달 말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 등 건전성 지표가 악화된 저축은행 3곳을 대상으로 자산건전성 관리실태 점검을 위한 경영실태평가를 실시하기도 했다.
다만 저축은행의 연체율 하락이 일시적인 것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금융당국의 부동산 PF 연착륙 대책에 따라 이달 초 진행된 PF 사업성 평가로 유의나 부실우려 등급의 사업장 규모가 확정되면 부실채권 규모가 늘어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저축은행 업권의 부동산 PF 정상화 펀드 3차 조성이 일시 중단된 것도 연체율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앞선 2차 정상화 펀드에서 부실채권을 매각한 저축은행과 펀드 출자자로 나선 저축은행이 상당수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한 금감원은 진성매각 여부를 살펴보기로 했다. 정상화 펀드가 실제 부실채권 정리가 아닌 저축은행의 일시적 파킹 수단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다.
저축은행 업계는 금감원의 점검이 예고되자 3차 정상화 펀드 조성을 잠정 중단한 상태다.
금융당국도 저축은행의 연체율 상승세가 꺾인 것으로 보기는 이르다는 입장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2분기에 연체채권 정리 등을 많이 해서 저축은행의 연체율이 떨어진 것은 맞지만 PF 사업성 평가 등에 따른 조정이 있을 수 있어서 3분기 이후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2금융권 차주들의 상환 능력을 고려할 때 금리가 언제 인하될지가 가장 중요한 외생 변수"라며 "저축은행들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건전성 관리를 해주느냐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저축은행들이 조금 손해를 보더라도 부실 자산을 빨리 떨어야 시장이 좋아지고 정상적인 영업도 할 수 있는 것"이라며 "이런 방향에서 연체율이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여주도록 감독당국에서 계속 저축은행 업계와 소통할 것"이라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