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AI 석학 얀르쿤 교수 "AI 아직은 인간 수준 못 미쳐…글로벌 초협력 개발 필요"
과기정통부 주최 2024 K-사이언스 & 테크놀로지 글로벌 포럼서 발표
"현재 AI 기술 제한적…물리적 세계 이해하고 계획하는 수준 안 돼"
"AI 발전 위해선 전세계적 협력 필요…규제 수립은 신중해야"
[서울=뉴시스] 얀 르쿤 뉴욕대학교 교수가 11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페어몬트앰배서더호텔에서 열린 '2024 K-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글로벌 포럼' 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글로벌 협력' 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심지혜 기자 = 세계적 인공지능(AI) 석학인 얀 르쿤 뉴욕대 교수(메타 AI최고과학자)가 현재의 AI 수준이 아직은 인간의 지능에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평가하며 AI 발전을 위해서는 전세계적 협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오픈소스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르쿤 교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11일 서울에서 개최한 ‘2024 K-사이언스 & 테크놀로지 글로벌 포럼’ 행사에 참석해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글로벌 협력'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했다.
본격적인 발표에 앞서 르쿤 교수는 본인이 착용한 메타의 스마트 안경을 소개했다. 안경테에 있는 버튼을 눌러 청중들을 사진찍는가 하면 말로 사진을 찍어달라고 명령하기도 했다.
그는 AI가 단순 명령 수행 단계를 넘어 복잡한 작업을 간소화하고 보다 자연스럽게 인간과 상호작용 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기에는 스마트 안경과 같은 기기들이 주효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곧이어 그는 현재의 AI 기술이 여전히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생성형AI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는 뛰어나지만, 물리적 세계와의 상호작용이나 복잡한 계획을 수립하는 데에서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르쿤 교수는 “인간의 지능은 일반적이지 않기 때문에 AI가 인간 수준의 지능을 달성하는 것과 같이 보이는 ‘AGI(범용인공지능’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며 “AI는 실제의 복잡성을 다 반영하지 못한다. AIM(진화한기계지능)이 더 맞는 표현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간이 자연스럽게 하는 행동이 현재 AI가 구현하기에는 어렵다”며 “고양이가 물리적 세계를 이해하는 수준보다도 떨어지는 수준”이라 평가했다.
르쿤 교수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AI 개발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AI패러다임으로 ‘목표 중심적 AI(Objective-Driven AI)’을 제시했다. 단순히 데이터를 예측하는 것에서 벗어나 물리적 세계를 이해하고 계획을 세울 수 있는 AI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현재의 거대언어모델(LLM)과는 다른 종류의 AI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물리적인 세계를 이해하고 지속적인 기억을 가지며 추론과 계획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안전하게 제어 가능한 AI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AI 혁명이 수년 내에 일어나겠지만 LLM으로 만들어 내기엔 충분하지 않다”고 말했다.
특히 르쿤 교수는 과기정통부가 미국에 마련한 ‘글로벌 AI 프론티어랩’이 이같은 AI를 개발하는 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르쿤 교수는 글로벌 AI 프론티어랩의 소장이기도 하다. 뉴욕에 마련한 글로벌 AI 프론티어랩은 뉴욕대 등 미국 연구진과 함께 AI 개발 기획부터 수행 등까지 협력하는 공동 연구랩이다.
르쿤 교수는 AI 발전을 위해서는 국제적인 협력과 개방형 플랫폼(오픈소스)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와 공공 기관 협력해 각 국가의 언어와 문화를 반영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AI를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메타와 같은 빅테크 기업들도 힘을 보태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미래의 AI는 모든 언어와 문화를 이해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 세계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아울러 이같은 오픈소스 AI 생태계 발전을 저해하는 규제가 이뤄져서는 안된다고 촉구했다.
르쿤 교수는 “정부가 오픈소스 기반 AI를 확산하는 데 방해되는 규제를 만드는 데 신중해야 한다”며 “엄격한 규제는 이러한 플랫폼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고 개발자들과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협력하고 제약이 될 수 있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11일 서울 영등포구 페어몬트앰배서더서울에서 열린 2024 K-사이언스 테크놀로지 글로벌 포럼에서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최형두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간사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4.12.11. [email protected]
이날 르쿤 교수와 함께 기조연설 단상에 오른 양자컴퓨터 신진연구자인 채은미 고려대 교수는 “한 나라에서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모든 것을 다 할 수는 없다”며 “글로벌 차원에서 자원과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민간과 정부, 과학기술과 외교 역량을 총 결집해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글로벌 허브 도약을 추진하고 있다”며 “과학기술 국제협력 강화를 위해 정책 방향과 과학기술 외교 이니셔티브를 발표하고 관련 법 제도를 정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