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부진…삼성, 연매출 300조 돌파에도 웃지 못했다(종합)
반도체 영업익, 3조 하회…구형 D램 시장 침체 여파
DX 모바일 부진…영업익 2.3조 "플래그십, 성장 견조"
프리미엄 판매 확대 주력…"경영 상황 회복 기대" 최선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2025.01.08. kgb@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1/08/NISI20250108_0020654811_web.jpg?rnd=20250108141533)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2025.01.08. kgb@newsis.com
D램 사업 매출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DDR4, LPDDR4 등 구형 메모리는 IT 수요 침체와 중국발 공급 과잉으로 제품 가격이 하락 중인 가운데, HBM(고대역폭메모리) 매출도 예상 밖 저조했다.
올해 1분기(1~3월)도 범용 메모리 시장의 약세가 예상되는 가운데, 삼성전자는 AI(인공지능) 관련 하이엔드(고급형) 제품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10~12월) 연결 기준 매출 75조7883억원, 영업이익 6조4927억원을 올렸다고 31일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67조7799억원) 대비 11.82% 증가했다. 지난해 1분기에 이어 4개 분기 연속 70조원대 매출을 올리고 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2조8247억원) 대비 129.85% 올랐지만 전 분기(9조1834억원)에 비해서는 29.3% 하락했다.
지난해 연간 매출은 역대 두 번째로 300조원을 돌파했지만 영업이익은 32조7000억원에 그쳤다. 특히 반도체 부문의 경우 연매출 111조1000억원 이상을 올렸지만 영업이익은 15조1000억원에 머물렀다.
앞서 삼성전자의 4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7조원대였지만 이보다 낮은 수치를 올렸다. 삼성전자는 "연구개발비 등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비용증가 영향…DS 영업익 3조 하회
메모리는 모바일 및 PC용 수요 약세가 지속된 가운데 HBM 및 서버용 고용량 DDR5 판매 확대로 D램 평균판매단가가 상승해 4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특히 HBM 4분기 매출은 전분기 대비 1.9배 증가했다.
그러나 연구개발비 및 첨단 공정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초기 램프업(가동률 향상)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했다. 당초 DS부문의 영업이익 예상치는 3조원대였지만 이보다 부진한 실적을 올렸다.
시스템LSI는 모바일 수요 약세와 첨단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비 증가로 영업이익이 하락했다.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는 모바일 수요 약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가동률 하락 및 첨단 공정 연구개발비 증가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2나노 게이트올어라운드(GAA) 공정은 디자인 키트를 고객사에 배포해 제품 설계 등 기술 개발을 진행했고 4나노 공정은 안정화된 수율을 기반으로 고성능컴퓨팅(HPC)용 제품을 양산했다.
DX 영업익 2.3조…모바일 실적 하락
이 중 모바일 사업을 담당하는 MX사업부는 플래그십 신모델 출시 효과 감소 등으로 스마트폰 판매가 줄어 전분기 대비 매출 및 영업이익이 하락했다.
그러나 연간 기준 갤럭시 S24 시리즈 매출이 두 자릿수 이상 성장해 플래그십 제품 매출은 견조한 성장을 보였다. 태블릿과 웨어러블 제품도 판매 수량 및 금액은 모두 성장했다.
네트워크사업부는 국내를 비롯해 북미, 일본 등 국내외 주요 시장에서 매출 및 영업이익이 개선됐다.
VD(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는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연말 성수기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매출이 확대됐으나, 전반적인 수요 정체 및 경쟁 심화에 따른 제반 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소폭 감소했다.
생활가전은 업체간 경쟁 심화로 수익성이 둔화됐으나, 비용 효율화 등을 추진해 전년 대비 실적이 개선됐다.
하만은 전장 사업의 안정적 수주가 지속되는 가운데 오디오 제품의 연말 성수기 판매를 확대해 매출 3조9000억원, 영업이익 4000억원을 달성했다.
디스플레이(SDC)는 매출 8조1000억원, 영업이익 9000억원의 실적을 올렸다. 중소형 사업의 경우 전반적인 스마트폰 시장 수요 부진과 경쟁 심화로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이 감소했으며, 대형 사업은 연말 성수기 TV 판매 증가로 전분기 대비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2025.01.08. kgb@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1/08/NISI20250108_0020654809_web.jpg?rnd=20250108115135)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2025.01.08. kgb@newsis.com
시설투자·연구개발 역대 최대 투자…"위기 극복 최선 노력 중"
삼성전자는 올해는 AI 분야의 기술 및 제품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고, 고부가가치 제품의 수요 대응과 프리미엄 제품 판매를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DDR4, LDDDR4 등 구형 D램 매출 비중이 한 자릿 수 수준까지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전자는 HBM 관련해 "HBM3E 개선 제품을 계획대로 준비 중인데 일부 고객사에 1분기 말부터 공급할 예정이고, 2분기부터 가시적 공급 증가를 전망한다"고 밝혔다.
박순철 삼성전자 신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저를 포함한 경영진 모두 현재 경영 현황이 쉽지 않음을 알고 있으며 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와 주요 사업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현재 이슈는 점차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중국 저비용 AI '딥시크' 돌풍에 대해 "시장 내 장기적 기회 요인과 단기적 위험 요인이 공존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업계 동향을 주시하며 급변하는 AI 시장에 적기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lovelypsyche@newsis.com, ijoinon@newsis.com, leejy5223@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