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관리 건설사 늘자 레미콘 업체 매출채권 관리 '비상'
건설사 잇단 법정관리에 매출 채권 관리 강화
법정관리 돌입시 대금 지급 지연…유동성 악화
리스크 발생시 거래량 줄이는 등 보수적 운영
영세 업체 '직격탄'…"최악의 경우 문 닫을수도"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26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레미콘 공장에 일부 레미콘 차량이 멈춰 서 있다.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레미콘·시멘트 등 후방 산업이 휘청이고 있다. 대표적인 내수 산업인 시멘트는 수요가 줄면서 일부 생산라인 가동을 중단했고, 레미콘 공장 가동률은 역대 최저인 17%로 내려앉았다. 2025.03.26. sccho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3/26/NISI20250326_0020747712_web.jpg?rnd=20250326134206)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26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레미콘 공장에 일부 레미콘 차량이 멈춰 서 있다.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레미콘·시멘트 등 후방 산업이 휘청이고 있다. 대표적인 내수 산업인 시멘트는 수요가 줄면서 일부 생산라인 가동을 중단했고, 레미콘 공장 가동률은 역대 최저인 17%로 내려앉았다. 2025.03.26. scchoo@newsis.com
레미콘을 납품한 시공사가 법정관리에 돌입하면 대금 지급이 지연되면서 자금 유동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주요 레미콘사들은 최근 매출채권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올해 들어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는 건설사들이 늘어나자, 기존 거래처의 여신 현황을 모니터링하는 등 채권 관리에 나선 것이다.
레미콘 업체들은 2022년부터 이어져 온 건설경기 침체로 수요가 줄고, 건설사들의 자금 사정까지 악화되자 보수적인 경영 기조를 이어오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건설사들이 늘어나다 보니 대금이 물리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며 "현장에서 대금 지급이 지연된다거나, 자금 사정이 어렵다는 얘기가 들어오는 경우가 있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레미콘 업체들은 건설사들의 신용등급 변동 사항이나 PF(프로젝트 파이낸싱) 현황 등을 모니터링하며 채권 관리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자금 사정이 악화된 건설사의 경우 거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등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중이다.
이 관계자는 "리스크가 있는 시공사의 경우 바로 거래를 중단하는 것은 아니지만 점진적으로 거래 규모를 줄여나가는 방향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과거에도 레미콘 업계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건설사들의 '줄도산'이 잇따르자, 매출채권 관리에 비상이 걸린 바 있다.
2012년 극동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하자 납품 대금을 받지 못한 레미콘 업체들은 대규모 집회를 열고 대금 변제를 요구하기도 했다.
특히 지역의 영세 레미콘 업체는 자금 유동성 악화가 곧바로 경영 위기로 이어지는 만큼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있다.
레미콘 업계 관계자는 "건설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자금이 묶여 버리는 상황이라 물품 대금을 변제받지 못하면 자금 경색이 초래된다"며 "영세한 업체의 경우 금융권으로부터 대출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는 조건도 안 되다 보니 자금 경색이 생기면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ong1987@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