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대학생·취준생 정신건강 빨간불…서울시, 마음건강 상담

등록 2025.04.01 11:15:00수정 2025.04.01 13:34:2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4개교 학생상담센터와 '마음건강 패스트트랙'

[서울=뉴시스] 지난해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참여자 대상 간이정신건강진단검사 결과. 2025.04.01. (표=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지난해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참여자 대상 간이정신건강진단검사 결과. 2025.04.01. (표=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박대로 기자 = 서울시가 진로와 취업 등으로 인한 불안감으로 우울한 대학생들의 마음을 살피기 위해 대학 학생상담센터와 손을 맞잡는다고 1일 밝혔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참여자 대상 간이정신건강진단검사(KSCL95)를 직업군별로 분석한 결과 동일 집단 내 고위험 비율은 대학생(30.4%), 무직·취업 준비생(30.0%) 순으로 높았다.



이어 전문직(23.6%), 프리랜서(23.3%), 전업주부(23.3%), 직장인(21.6%), 자영업자(19.6%), 대학원생(13.6%) 순이었다.

청소년에서 성인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에 있는 대학생들이 진로, 취업, 대인 관계, 삶의 방향 설정 등 다양한 이유로 심리적 위기를 겪고 있다고 시는 분석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대학생 마음건강 패스트트랙'을 구축하고 이달부터 대학 학생상담센터 4곳(동양미래대, 삼육보건대, 성균관대, 한국외대)과 협력한다.



청년 마음건강 지원은 심리 지원이 필요한 19~39세 서울 청년을 대상으로 간이정신진단검사, 기질·성격검사 등 과학적 진단 진행 후 마음 건강 상태에 따라 맞춤형 심리 상담과 후속 사후 관리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패스트트랙에 참여하는 대학 학생상담센터는 심리적 위기로 즉시 상담이 필요하거나 추가 심층 상담이 필요한 대학생을 발굴한다.

해당 대학생은 별도 신청 절차 없이 즉시 일대일 마음 건강 상담을 최대 10회까지 받을 수 있다.

시는 일대일 상담 후 마음 회복 수준과 고민 유형에 따라 심리 회복과 성장 지원 과정을 추가로 지원할 예정이다.

추가적인 심리 회복이 필요한 청년에게는 또래와의 관계 속에서 고민과 경험을 나누는 '집단 상담'을 비롯해 자기 돌봄 방법을 배우는 '차·향 테라피'(아모레퍼시픽공감재단 협력), 그리고 정원 산책, 숲 요가, 꽃 활용 공예 등 서울시 정원 처방 등이 제공된다.
 
진로와 취업에 관한 고민을 가진 청년에게는 서울시 청년인생설계학교 우선 선발·지원, 기업 연합 현직자 멘토링(아모레퍼시픽공감재단 협력), 취업 컨설팅과 취업 특강(서울시 일자리센터 협력)을 제공한다.

패스트트랙을 통해 지원을 받은 대학생을 장단기 추적 조사해 상담 전후 효과성을 평가한다. 시는 청년의 마음 건강 상태, 기질과 성격 유형, 직면한 어려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유형을 나누고 유형별 마음 건강 회복 수준과 위험 요인, 추가 지원이 필요한 정책 등을 도출한다.

시는 시범 사업 운영 결과와 대학 현장 상담 수요 등을 검토해 향후 협력 대학과 지원 규모 등을 확대할 계획이다.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관은 "서울의 미래를 이끌 청년들이 마음 건강을 회복해 당당히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대학교와 긴밀히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실질적인 지원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daero@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