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서울대병원, 무선 심박동기 국내 첫 시술 '성공'

등록 2021.02.26 16:29:07수정 2021.02.26 17:15:1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소형건전지 보다 작아…"흉터 없고 회복 빨라"

몸에 삽입하는 전선이 달린 인공심박동기와 대퇴 정맥을 통해 시술로 삽입하는 메드트로닉社 무선 심박동기 '마이크라'(파란색 원 안). (그림=서울대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몸에 삽입하는 전선이 달린 인공심박동기와 대퇴 정맥을 통해 시술로 삽입하는 메드트로닉社 무선 심박동기 '마이크라'(파란색 원 안). (그림=서울대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홍세희 기자 = 서울대병원 부정맥 연구팀(오세일, 최의근, 이소령 교수)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심박동기 치료가 필요한 서맥성 부정맥 환자에게 '무선 심박동기'를 삽입하는 시술에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연구팀은 지난 24일 80세, 67세 여성 환자에게 국내 최초로 무선 심박동기 시술을 했다. 두 환자에게 모두 심박동기가 성공적으로 삽입됐고, 완벽하게 작동했다.

환자 한 명은 과거 개심술 이력과 삼첨판 역류증이 심해 난이도가 높았지만 이상 없이 시술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심장은 보통 분당 60~100회를 뛰는데 50회 미만이면 서맥성 부정맥으로 진단한다. 심하게 심장 박동이 느려지는 환자는 어지럼증과 호흡곤란을 느끼고, 심하면 실신과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일시적으로 심장이 느리게 뛰는 서맥은 약물치료가 가능하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노화로 인해 약해진 심장기관이다.

인공심박동기는 심방과 심실 사이 결절 부위에 전기를 전달해 심장이 정상적으로 뛰게 돕는다. 지금까지는 가슴의 피부를 절개해 부피가 큰 인공심박동기를 삽입하고 혈관을 통해 심장 안으로 전선을 연결했다.

그러나 시술로 인해 흉터가 남고, 인공심박동기가 피부 위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단점이 있었다. 또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전선에 이상이 생기면 다시 절개를 해야 하는 불편도 있다. 국내에서는 한 해 동안 약 5000명 정도가 인공심박동기를 삽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무선으로 작동하는 심박동기는 메드트로닉사에서 개발했다. 크기가 소형 건전지보다 작아서 대퇴부 정맥을 통해 심장 안에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 피부를 절개하지 않아 흉터도 없고 회복이 빨라 환자 만족도가 높다. 전선으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도 해결됐다.

이소령 교수(순환기내과)는 "이번 시술은 국내에 최초로 도입된 무선 심박동기 시술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쾌거"라며 "앞으로 적응증이 되는 서맥성 부정맥 환자에게 편리한 무선 심박동기 시술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