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미국·일본엔 나온 '글로벌 신약'…한국은 4년 더 걸린다

등록 2023.06.08 17:01:00수정 2023.06.08 20:28:0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KRPIA, 글로벌 신약접근 보고서 발표

해외 첫출시 후 韓 급여출시까지 4년

OECD 평균보다 신약 도입 오래 걸려

[서울=뉴시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별 글로벌 최초 출시 후 1년 이내 도입(비급여 출시)된 신약 비율 (이미지=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제공) 2023.06.0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별 글로벌 최초 출시 후 1년 이내 도입(비급여 출시)된 신약 비율 (이미지=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제공) 2023.06.08.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송연주 기자 = 신약이 해외에서 최초 출시한 후 한국에 도입되는 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보다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적 제약기업을 회원사로 둔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는 8일 '글로벌 신약 접근 보고서'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신약 출시 현황을 발표했다.

미국 제약연구 및 제조사협회(PhRMA)가 지난 4월 발간한 이 보고서는 한국 등 72개 국가를 주요 20개국(G20), OECD, 지역별로 세분화해 국가별 신약 출시 현황과 건강보험 급여 실태를 조사했다. 2012~2021년 10년간 미국·유럽·일본 지역에서 최초 시판허가를 받은 460개 신약을 대상으로 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최초 출시 후 1년 이내 도입된 신약의 비율은 한국이 OECD 국가 평균의 절반 이하였다. OECD 국가 평균 신약 도입률(비급여 출시율)은 18%인 반면 우리나라는 5%로 약 4분의 1 수준이다.

신약 도입률이 가장 높은 국가는 미국(78%), 독일(44%)과 영국(38%) 순이다. 일본은 한국의 2배에 가까운 32%였다.

만약 전 세계에서 개발된 신약이 100개라면 1년 안에 OECD 국가에 평균 18개, 일본에 32개 도입되는 반면 국내 환자는 5개 신약의 치료 기회만 얻는 셈이다.

항암제와 희귀질환 신약은 글로벌 출시 후 한국에 건강보험 혜택을 못 받는 '비급여'로 출시되는 데에도 약 27~30개월 걸렸다. 영국, 독일 등 선진국이 평균 12~15개월, 일본이 18~21개월 걸리는 것에 비해 2 배 정도 더 소요됐다.

약값에 건강보험 혜택을 적용하는 '급여' 출시까지는 약 4년(46개월) 걸렸다. 글로벌 첫 출시 후 한국에서 급여 적용까지 걸린 기간이다. OECD 국가 평균은 45개월로 비슷했으나 일본(17개월), 프랑스(34개월)에 비해 10개월에서 길게는 2배 이상 오랜 시간이 걸렸다.

한국의 건강보험 급여 신약 비율도 22%였다. OECD 국가 평균(29%)의 아래를 밑돌았다. 일본(48%)과 영국(48%) 대비 절반에 그친다. 지난 10년 동안 출시된 신약이 100개라면 일본은 절반 가까운 48개 신약을 국민이 보험급여로 사용할 수 있었던 반면 국내 환자는 22개만 사용했다는 의미다. 

KRPIA는 "혁신 신약의 가치가 제대로 인정받고 국내 환자도 글로벌 신약에 대해 건강보험 급여를 빠르게 적용 받을 수 있도록 제도와 환경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OECD 국가별 신약 건강보험 급여율 (이미지=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제공) 2023.06.0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OECD 국가별 신약 건강보험 급여율 (이미지=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제공) 2023.06.08.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