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연·고대 연구팀, 파킨슨병 일으키는 새로운 유전자 찾았다

등록 2021.12.10 09:30:08수정 2021.12.10 09:57: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TPBG 유전자, 파킨슨병 위험인자로 새로 밝혀져

향후 새로운 파킨슨병 치료제 개발에 활용 기대

[서울=뉴시스] 김동욱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교수, 김대성 고려대학교 교수. (사진=세브란스병원 제공) 2012.12.10.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김동욱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교수, 김대성 고려대학교 교수. (사진=세브란스병원 제공) 2012.12.10.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신귀혜 기자 = 김동욱 연세대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교수(연구책임자), 박상현 박사(제1저자)와 김대성 고려대 교수는 공동으로 TPBG(Trophoblast glycoprotein) 유전자의 기능 이상이 파킨슨병을 일으킨다고 10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nature) 파트너 저널인 ‘npj 파킨슨 디지즈(npj Parkinson’s Disease)’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파킨슨병은 중뇌(midbrain)의 흑질부(substantia nigra)에서 신경전달물질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소실돼 나타난다. 아직까지 발병 원인이나 진행 기전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현재 치료법은 근본적 치료가 아닌 증상 완화를 목표로 한다.

연구팀은 줄기세포, 생쥐 배아에서 TPBG의 유전자 발현 특징을 밝혔고 성체 생쥐 모델에서 TPBG와 파킨슨병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연구팀은 TPBG가 배아줄기세포에서 유래된 중뇌 도파민 신경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고 있는 것을 찾아냈다. 뒤이어 연구팀은 생쥐가 수정 이후 성체로 자라는 과정에서 중뇌 도파민 신경세포가 발생하는 지역인 복측 중뇌(ventral midbrain)에서 TPBG가 발현되며, 성체 시기 동안에도 중뇌 도파민 신경세포에서 TPBG의 발현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중뇌 도파민 세포에서 TPBG의 기능에 주목했다. 고령의 TPBG 유전자 결핍 생쥐 중뇌 흑질부에서는 세포 사멸(apoptosis)의 증가와 함께 알파-시뉴클레인(alpha-synuclein)의 축적, 신경염증(neuroinflammation) 등 파킨슨병에서 주로 나타나는 기전을 동반했다.

이어 연구팀은 파킨슨병 운동장애를 확인할 수 있는 걸음걸이 분석 등 행동실험을 수행해 신경화학적 변화가 파킨슨병과 관련 있는 운동 이상 증상으로도 이어진 것을 확인했다.

김동욱 교수는 “파킨슨병의 발병 기전이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은 가운데, TPBG 유전자가 새로운 파킨슨병 유발 위험인자임을 밝혀낸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새롭게 찾아낸 위험인자를 표적으로 기전 연구와 신약 개발이 이뤄지면 파킨슨병 정복에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marimo@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