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탄소 중립, 시대적 과제]석유공사, 동해 바다 아래에 CO₂ 가둔다

등록 2021.12.27 06:30:00수정 2021.12.27 07:15:4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탄소 포집 및 저장(CCS) 확대

온실가스 감축에 효율적 수단

세계 온실가스 9% 감축 전망

30년간 '1200만t' 포집할 계획

[세종=뉴시스] 탄소 포집 및 저장(CCS) 및 해상 풍력 복합 시설로 탈바꿈할 동해 가스전. (사진=한국석유공사 제공)

[세종=뉴시스] 탄소 포집 및 저장(CCS) 및 해상 풍력 복합 시설로 탈바꿈할 동해 가스전. (사진=한국석유공사 제공)


[세종=뉴시스] 김진욱 기자 = 지난 2015년 각국이 모여 맺은 파리 협약(Paris Agreement)은 현재 350억t 수준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오는 2050년 100억t까지 감축하는 계획을 제시했다. 한국 정부도 2020년 11월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시행령을 제정하고 2017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4.4%(7억910만→5억3608만t) 감축하기로 했다.

이런 계획에 가장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는 에너지 공기업 중 하나는 한국석유공사다. 석유공사는 정부가 추진하는 그린 뉴딜 주요 과제 중 '탄소 포집 및 저장'(CCS)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CCS는 온실가스 중 가장 큰 몫을 차지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지하 저장소에 저장하는 기술이다.

CCS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는 데 가장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수단으로 꼽힌다는 것이 석유공사의 설명이다. 화석 연료 중심의 기존 산업 구조를 급격히 개편하기 어려운 상황이라 이산화탄소를 지하에 저장하는 CCS가 국내 산업에 미치는 충격파를 최소화하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기 때문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50년 CCS가 세계 온실가스 감축량의 9%를 담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는 온실가스 감축 기술 중 단일로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다.

CCS에 필요한 핵심 기술 및 역량은 기존 유가스전 개발 사업에 필요한 것과 유사하다. 적정한 이산화탄소 저장소를 찾는 탐사 기술, 주입하는 기술 모두 석유 기업이 보유하고 있다. 세계 주요 CCS 대부분을 엑손모빌·셸·에퀴노르 등 다국적 석유 대기업이 주도하고 있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이에 따라 석유공사는 2020년 7월 CCS사업팀을 신설해 전담 조직과 전문 인력을 확보한 뒤 동해 가스전을 CCS 실증 기술 플랫폼으로 활용하겠다고 나섰다. 2004년 가동을 시작한 동해 가스전은 18년간의 천연가스 생산을 마친 뒤 CCS·풍력 복합 단지로 탈바꿈된다.

가스를 빼낸 해저 저장 층을 이산화탄소 저장소로 쓰고 해상에는 풍력 시설을 조성할 계획이다. 지하에는 이산화탄소를 가두고 지상에서는 친환경 발전기를 돌리는 것이다. 석유공사는 동해 가스전 저장소에 향후 30년간 매년 40만t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총 1200만t의 온실가스 저감 효과를 내겠다는 구상이다.

석유공사와 정부는 CCS가 본궤도에 오를 경우 국가 산업 구조를 친환경으로 바꾸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올해 안에 동해 가스전을 활용한 CCS 통합 실증 사업 예비 타당성 조사를 신청하고 2025년 이산화탄소 주입 개시를 목표로 현재 기본 설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석유공사는 CCS 사업화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민간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올해 8월 한국조선해양(옛 현대중공업)과 기본적인 설계 요소에 대한 기술 협의를 통해 노르웨이 DNV로부터 이산화탄소 주입용 플랫폼 관련 기본 승인을 획득했다. 동해 가스전 전환을 위해 9월에는 SK이노베이션과 업무 협약(MOU)을 맺었다.

이호섭 석유공사 CCS사업팀장은 "CCS는 정부에서 추진하는 2050년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술"이라면서 "동해 가스전을 활용한 CCS 실증 사업을 안전하게, 또 성공적으로 추진해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과 탄소 중립 사회로의 전환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