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김정은, 7차 핵실험 감행 시기 늦췄나…전문가 의견 분분

등록 2022.06.11 11:00:0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대미 협상 여지 두며 핵실험 늦췄을 수도

정면 승부 언급은 핵실험 강행 의지 해석

기폭장치 실험 진도 살펴야 한다는 의견

[서울=뉴시스] 전원회의 주재하는 김정은. 2022.06.11. (사진=조선신보 누리집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전원회의 주재하는 김정은. 2022.06.11. (사진=조선신보 누리집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박대로 기자 = 김정은 북한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이 당 전원회의에서 핵 실험을 명령하지 않은 가운데 핵 실험 연기 여부를 놓고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11일 북한 관영 매체 공개 보도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지난 8일부터 10일까지 개최한 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5차 전원회의 확대회의에서 핵 실험을 명령하지 않았다.

김 위원장은 "오늘 우리 국가의 안전 환경은 매우 심각하며 주변 정세는 더욱 극단하게 격화될 수 있는 위험성을 띠고 있으며 이 같은 정세는 우리로 하여금 국방력 강화를 위한 목표 점령을 더욱 앞당길 것을 재촉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핵 실험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이를 놓고 일부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이 핵 실험을 늦춘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부총장은 "핵 실험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것은 김정은이 최종 결심 판단해야 할 사항이기 때문이다. 최선희 외무상 등극도 대미 협상에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며 "따라서 핵 실험을 연기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짚었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전문연구위원은 "북한 정권 유지에 코로나가 가장 큰 복병으로 등장했는지 방역에 비중이 높은 듯 하다"며 "군사 부분은 크게 강조가 안 된 듯 하고 한미가 김 빼기를 많이 해서 그런지 핵 무력에 대한 직접 언급은 전혀 없다"고 분석했다.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핵 실험 등 일정에 앞서 민생 챙기기 행보부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류성엽 21세기군사연구소 전문연구위원은 "내용상으로는 한 템포 쉬어가고 있다"고 짚었다.

[서울=뉴시스]북한 함경북도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공사가 진행중인 3번 터널 주변 현장.(출처= 비욘드 패럴렐 누리집) 2022.5.18.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북한 함경북도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공사가 진행중인 3번 터널 주변 현장.(출처= 비욘드 패럴렐 누리집) 2022.5.18. *재판매 및 DB 금지

반면 일부 전문가들은 전원회의와 관계없이 핵 실험이 진행될 것으로 봤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정면 승부라는 표현은 정면 돌파보다 한 발짝 더 나아간 표현으로 필요하면 싸워서라도 승부를 내겠다는 강경 입장"이라며 "이는 국방 발전 및 전략 전술 체계 개발 5개년 계획의 차질 없는 수행을 재확인한 것이며 7차 핵 실험 등의 강행을 사실상 예고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정면 돌파전은 자력갱생과 핵 능력 고도화를 통해 미국의 제재 책동을 분쇄하는 것이 목표"라며 "이번 전원회의에서 이런 기조가 재확인됨으로써 북한은 7차 핵 실험과 추가 ICBM(대륙 간 탄도 미사일) 발사 등 국방력 강화를 위한 목표 점령을 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구체적인 핵 실험 시기를 예상하려면 기폭 장치 실험을 주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은 "핵 실험 시기를 추정하려면 기폭 장치 실험 진도를 보는 게 좋다"며 "새로운 핵무기는 기폭 실험을 상당히 많이 해야 한다. 그러니 최근 발표된 유형의 기폭 실험이 끝났으면 곧 실험한다고 봐도 되고 반면 큰 진전이 없으면 시간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이 위원은 또 "핵 실험을 하려는 게 최근 기폭 장치 실험한 것과 동일하다면 기폭 장치 실험 완료 후에 생산해 실험하겠지만 만약 북한이 핵무기 여러 개 개발을 병행하면서 과거에 기폭 실험을 한 것들을 또 실험한다면 핵 실험을 여러 번에 걸쳐서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