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부산 과학기술 인재 '年 2500명' 수도권 유출 대책마련 시급

등록 2023.07.03 18:22: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제1회 부산 과학기술정책 혁신 토론회'에서 지적

인구 감소·수도권 집중·과학기술 양극화로 큰 어려움

BISTEP "과학인재 순이동 유출 규모 부산 최대로 진행"

[부산=뉴시스] 김민지 기자 = 3일 오후 부산 연제구 부산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제1회 부산 과학기술정책 혁신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2023.07.03. mingya@newsis.com

[부산=뉴시스] 김민지 기자 = 3일 오후 부산 연제구 부산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제1회 부산 과학기술정책 혁신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2023.07.03. [email protected]


[부산=뉴시스]김민지 기자 = 매년 부산지역의 과학기술 인재 2500명이 수도권으로 유출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부산지역의 산업 특화도가 낮은 부문인 정보통신기술(ICT)과 소프트웨어(SW) 부문에서의 수도권 취업 이동이 집중된 것으로 밝혀졌다.

3일 오후 부산 연제구 부산시의회 대회의실에서 부산산업과학혁신원(BISTEP)이 주관하고 부산시의회 기획재경위원회가 주최하는 '제1회 부산 과학기술정책 혁신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행사는 주제 발표와 패널 토론으로 진행됐으며 서용철 BISTEP 원장과 김광명 부산시의회 기획재경위원회 위원장, 채윤식 BISTEP 선임연구원, 김지홍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인재정책센터 부연구위원 등이 참여했다.

채윤식 BISTEP 선임연구원은 '부산 과학기술인재 육성현황 및 유출입 특성'을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채 선임연구원은 BISTEP에서 조사한 부산 과학기술인재 육성 현황을 이야기하며 "이공계 석·박사 수의 감소 위기가 우려되는 상황이고 특히 지역 과학기술 인재의 경우에는 인구 감소와 수도권 집중, 과학기술 양극화 등 더 큰 어려움에 빠져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현황 발표를 통해 부산의 청년인구는 부산시 전체 인구의 감소세보다 더 가파르게 감소하고 있고 부산지역의 청년인구 비율은 2013년 27.3%에서 2022년 22.1%로 급격히 감소했다고 알렸다.

가장 많은 유출이 발생하는 연령대는 주로 취업 이동이 발생하는 연령대인 25~29세로 조사됐다.

부산 과학기술 인재의 서울로의 순이동 유출은 지난 10년간 약 1.8배 증가했으며 경기도로의 순이동 유출은 약 5.5배 증가했다.

서울로의 전출 사유 중 '직업 이동'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3년 43.2%에서 2022년 54.4%로 증가했으며 이에 대해 채 선임연구원은 "직업 선택으로 인한 청년층 수도권 이탈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채 선임연구원은 "부산 지역의 과학기술 인재 순이동 유출은 최대 규모로 진행되고 있고 수도권으로의 인재 유출은 매해 2500명 이상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부산의 산업 특화도가 낮은 정보통신기술(ICT) 부문과 소프트웨어(SW) 부문으로의 취업 이동이 집중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부산=뉴시스] 김민지 기자 = 3일 오후 부산 연제구 부산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제1회 부산 과학기술정책 혁신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2023.07.03. mingya@newsis.com

[부산=뉴시스] 김민지 기자 = 3일 오후 부산 연제구 부산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제1회 부산 과학기술정책 혁신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2023.07.03. [email protected]


김지홍 KISTEP 부연구위원은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정책 및 지역 과학기술인재 확보 방향'을 이야기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여러 대외적인 불확실성이 증대하는 가운데 해외 주요국들은 인적자원 개발과 핵심인재 영입·보호에 사활을 걸고 있다"면서 "그러나 우리나라는 인재 부족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가 발표한 '2022년 세계경쟁력 분석 결과'를 언급하며 "세계 60여개국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의 세부 항목 중 산학 간 지식 전달 정도를 집계한 순위에서 미국 7위, 중국 20위를 기록했지만 한국은 30위"라며 "산학연간의 정보·기술 교류를 위한 기반이 부족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부산은 특히 청년층의 수도권 이동과 초고령 사회 등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며 "외국인 유학생 현황도 낮아 외국인 인적자원의 활용 또한 저조하다"고 우려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지역 과학기술인재 확보 방안으로 ▲ 실무·현장 중심 전문인재 양성 역할 강화 ▲지역 대학·연구기관 간 협력 활성화 ▲재직 과학기술인 전문역량 강화·학습 지원 ▲유학생·고경력 과학기술인재 활용 활성화 등을 제시했다.

이날 토론에는 박성익 경성대 교수와 서옥순 부산연구원 실장, 김형철 부산시의회 의원(국힘·연제구2), 정형구 BISTEP 정책연구본부장 등이 참여했다.

박 교수는 "부산 지역으로 이전한 공공기관과 부산시가 협업해서 약 100억원의 지역인재 장학금을 주고 있다"며 "지원 대상의 전공이 정보기술(IT)과 상경 계열로 한정돼 있어 이공계열의 폭이 좁은 것이 아쉽다"고 말했다.

이어 "장학금의 지원 대상이 이공계의 다양한 부문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부산시의회가 예산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 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서 실장은 "부산 지역 기업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인재이고,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중요 방법 중 하나는 지산학 협력"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청년인턴과 같은 제도의 활성화를 통해 지역 기업과 인재 모두가 선순환될 수 있다"며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지역 이전 공공기관에서도 다양한 기회들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