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에퀴노르, 세계최대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하이윈드 탐펜' 본격가동

등록 2023.08.24 12:50:1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북해 석유가스전 해상플랫폼에 연간 전력 수요의 35% 해당하는 재생에너지 공급

총 개발비 중 60% 현지 공급망 기업 혜택…지역 경제 활성화 기여

[울산=뉴시스] 23일(현지 시간) 북해 석유가스전 해상 플랫폼에서 크제틸 호브 에퀴노르 노르웨이 대륙붕 담당 부사장, 호콘 노르웨이 왕세자, 요나스 가르 스퇴레 노르웨이 총리, 시리 에스페달 킨뎀 에퀴노르 노르웨이 재생에너지 부문 부사장이 오프닝 행사를 열고 있다. (사진=엑세스 커뮤니케이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울산=뉴시스] 23일(현지 시간) 북해 석유가스전 해상 플랫폼에서 크제틸 호브 에퀴노르 노르웨이 대륙붕 담당 부사장, 호콘 노르웨이 왕세자, 요나스 가르 스퇴레 노르웨이 총리, 시리 에스페달 킨뎀 에퀴노르 노르웨이 재생에너지 부문 부사장이 오프닝 행사를 열고 있다. (사진=엑세스 커뮤니케이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울산=뉴시스] 조현철 기자 = 노르웨이 국영 종합 에너지 기업 에퀴노르는 24일 북해 석유가스전 해상 플랫폼에 부유식 해상 풍력 '하이윈드 탐펜'(Hywind Tampen)을 완공하고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하이윈드 탐펜은 발전설비 용량이 88㎿로 이번 가동식을 시작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에 올랐다.

하이윈드 탐펜이 본격 가동을 시작함에 따라 북해에 위치한 굴팍스와 스노레 석유가스전은 세계 최초로 해상풍력으로 생산된 재생에너지로 운영된다. 하이윈드 탐펜은 해당 석유가스전 해상 플랫폼의 연간 전력 수요의 약 35%를 충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욘 인게 브라텐 에퀴노르 코리아 대표는 "에퀴노르는 해상풍력 산업에서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며 "하이윈드 탐펜은 부유식 해상풍력에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한 모범 사례다. 이 대규모 프로젝트를 성공한 경험을 바탕으로 해상풍력을 한국에 도입하는 데 에퀴노르가 좋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하이윈드 탐펜은 북해의 주요 석유 및 가스 생산업체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중 연간 20만t을 감축할 전망이다. 이 프로젝트는 굴팍스·스노레 파트너십과 에노바(노르웨이 기후환경부의 친환경 지원 기관)가 추진 중인 선구적인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성과이다.

이 프로젝트를 위해 에노바와 노르웨이 기업 부문의 녹스 펀드는 해상풍력 발전 및 배기가스 저감 기술 개발 촉진을 위해 각각 23억 크로네(약 2900억원)와 5억6600만 크로네(약 714억원)를 지원했다.

현재 하이윈드 탐펜 프로젝트 투자금액은 약 74억 크로네(약 9300억원)로 추산된다. 이 프로젝트는 세계 최초 상용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인 하이윈드 스코틀랜드와 비교했을 때 상당한 규모의 건설 비용을 절감했다. 2016년과 2017년 이후 가격 변동에 따라 조정된 하이윈드 탐펜의 투자 비용은 발전설비 ㎿당 약 35% 낮다.

[울산=뉴시스] 하이윈드 탐펜 풍력터빈 *재판매 및 DB 금지

[울산=뉴시스] 하이윈드 탐펜 풍력터빈 *재판매 및 DB 금지

무엇보다 5년간의 개발 기간 동안 투입된 총계약 금액 중 60%가 개발에 참여한 노르웨이 공급망 기업의 수주 금액이다. 이는 녹색 일자리, 지역 파급효과 및 향후 신흥 산업군에서 부유식 해상 풍력 프로젝트를 위한 기술 개발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에퀴노르는 저탄소 미래를 위한 장기적 가치 창출에 기여하는 글로벌 종합 에너지 기업이다. 에퀴노르의 사업 포트폴리오는 석유 및 가스, 재생에너지, 저탄소 솔루션을 아우르며 2050년까지 탄소중립 에너지 기업이 되겠다는 게 목표다.

2014년부터 한국에 진출한 에퀴노르는 국내 조선중공업 기업의 대규모 해양 플랫폼 및 선박 건조를 지원하기 위해 수년간 국내 공급업체와 협력해 왔다.

한국에서 다양한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최대 4~6GW까지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이 계획에 울산 앞바다의 반딧불이와 동해1, 추자도 앞바다의 후풍과 추진이 포함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