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통영한산대첩축제, 개최시기 놓고 공청회…역사성 vs 대중성 대립

등록 2023.09.19 07:07:1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통영시, 공청회 통해 전문가 및 시민여론 수렴

여름지지층, 역사적 인물 기리는 축제에 역사성 빼면 뭐가 남나

가을지지층, 폭염 속 축제는 주최자, 참가자 모두에게 고역

[통영=뉴시스] 신정철 기자=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한산대첩 승전을 기념하는 통영한산대첩축제의 개최 시기를 놓고 지난 18일 오후 통영시 문화동 통제영거리 내 역사홍보관 2층 시청각실에서 공청회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 8월에 개최된 제62회 한산대첩축제 한산해전 재현 모습.(사진=뉴시스DB).2023.09.19. sin@newsis.com

[통영=뉴시스] 신정철 기자=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한산대첩 승전을 기념하는 통영한산대첩축제의 개최 시기를 놓고 지난 18일 오후 통영시 문화동 통제영거리 내 역사홍보관 2층 시청각실에서 공청회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 8월에 개최된 제62회 한산대첩축제 한산해전 재현 모습.(사진=뉴시스DB).2023.09.19. [email protected]

[통영=뉴시스] 신정철 기자 =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한산대첩 승전을 기념하는 통영한산대첩축제의 개최 시기를 놓고 또 한번의 공청회가 진행됐다.

통영시는 지난 18일 오후 통영시 문화동 통제영거리 내 역사홍보관 2층 시청각실에서 ‘통영한산대첩축제 개최 시기에 관한 공청회’를 갖고 전문가와 시민 의견을 수렴하는 시간을 가졌다.

1962년 통영시민의 이름으로 자발적으로 시작된 통영한산대첩축제는 봄과 가을에 열리다 2000년부터 지역축제를 통폐합하고, 시민여론을 수렵하여 개최 시기를 8월로 옮겼다.

하지만 한여름 무더위 속에 축제가 열리자 시기를 변경해야 한다는 의견이 수년간 제기됐었다.

통영한산대첩축제는 1592년(선조 25) 8월 14일(음력 7월 8일) 통영시 한산도 앞바다에서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조선 수군이 일본 수군을 크게 무찌른 한산해전 승전을 기념하는 축제다.

이날 열린 공청회는 (재)통영한산대첩문화재단 류태수 대표이사 발제에 이어 전문가 패널 4명 의견 발표와 토론, 방청객 의견수렴이 진행됐다.

여름을 지지하는 측에선 축제 역사성에 무게를 두었다.

패널로 배석한 (사)쪽빛감성학교협동조합 김순철 대표는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격언을 되짚으며 “모든 악조건을 극복하면서 축제를 하는 것은 그날의 교훈을 잊지 않기 위해서다. 여름인 아버지 제사를 덥다고 가을에 지낼 순 없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우상 경남MICE관광포럼 대표이사도 “축제는 당위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역사문화축제의 첫째는 역사성”이라며 “한산해전 승전일이자 통영에 굉장한 의미를 갖는 8월을 피하면 축제의 의미가 크게 퇴색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반해 가을 지지층은 수요자 입장에서 고려해야 할 시점이 됐다고 지적했다.

실제 이날 공개된 올해 축제 방문객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전체 응답자의 75.8%(지역민 76.1%, 관광객 74.6%)가 적절한 개최 시기로 9월과 10월을 꼽았다. 8월은 18.8%에 불과했다. 8월 개최에 대한 만족도 역시 7점 만점에 3.17(지역민 3.08, 관광객 3.32)점에 그쳤다.

[통영=뉴시스] 신정철 기자=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한산대첩 승전을 기념하는 통영한산대첩축제의 개최 시기를 놓고 지난 18일 오후 통영시 문화동 통제영거리 내 역사홍보관 2층 시청각실에서 공청회가 진행되고 있다.(사진=통영시 제공).2023.09.1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통영=뉴시스] 신정철 기자=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한산대첩 승전을 기념하는 통영한산대첩축제의 개최 시기를 놓고 지난 18일 오후 통영시 문화동 통제영거리 내 역사홍보관 2층 시청각실에서 공청회가 진행되고 있다.(사진=통영시 제공).2023.09.19.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배재대학교 최상규 교수는 ‘축제를 여는 쪽이나 참가하는 쪽 모두에게 고역’이라는 <부산일보> 칼럼을 소개하며 “우리의 욕구도 중요하지만, 수요자에 대한 욕구 조사가 기반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상대학교 김경섭 교수도 “무엇보다 축제 주체인 시민사회가 시기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열린 대안을 고민해야 한다”면서 “확장성 측면에서도 10월 열리는 소규모 문화 이벤트와 연계해 판을 더 키울 수도 있다”고 제안했다.

시민 의견도 엇갈렸다.

시민 이경건씨는 “한산대첩축제는 여름을 떠나면 영혼이 없는 축제가 된다. 이순신 장군이 출정할 때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더우니 가을로 가자? 유치한 생각”이라고 일축했다.

반면, 허도명 씨는 “소비자가 원하는 대로 가야 한다. 선조의 헌신 너무 감사하다. 하지만 이를 후손에게 강요해선 안 된다. 가을에 한다고 해서 역사성이 훼손되는 건 아니다”고 말했다.

여름 축제를 유지하되 무더위를 이겨낼 묘책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 시민은 “여름이라는 역사성을 버릴 수 없다면 대안을 고민해야 한다”면서 “여름축제도 장점이 많다. 폭발력 측면에선 오히려 가을보다 여름이 더 역동적이다. 결론은 콘텐츠다. 마케팅 대상을 다시 정립하고 포인트를 찍으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주장했다.

통영시는 오는 10월10일까지 읍면사무소 및 행정복지센터에서 한산대첩축제 개최 시기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 중이며 향후 전문가와 시민 의견을 바탕으로 축제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