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북한서 만난 푸틴·김정은, 美 패권 종말 주장하는 시진핑 대변"

등록 2024.06.20 10:34:57수정 2024.06.20 12:46: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英 더타임스 "中, 손 안 대고 코 풀기…북러가 대신 목소리 내"

"김정은·푸틴 밀착에 시진핑 불편?…연료·식량 쥔 中 지위 불변"

북한, 러시아서 핵잠수함·군사위성·ICBM 등 기술 습득 가능성

[평양=AP/뉴시스]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내놓는 발언이 미국 패권 종말을 언급해 온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입장을 대변한다고 영국 더타임스가 1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사진은 푸틴(오른쪽) 대통령이 같은 날 김 위원장과 함께 북한 평양의 김일성 광장에서 열린 공식 환영식에 참석해 의장대를 사열하는 모습. 2024.06.20.

[평양=AP/뉴시스]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내놓는 발언이 미국 패권 종말을 언급해 온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입장을 대변한다고 영국 더타임스가 1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사진은 푸틴(오른쪽) 대통령이 같은 날 김 위원장과 함께 북한 평양의 김일성 광장에서 열린 공식 환영식에 참석해 의장대를 사열하는 모습. 2024.06.20.


[서울=뉴시스] 이명동 기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내놓는 발언이 미국 패권 종말을 언급해 온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입장을 대변한다고 영국 더타임스가 1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매체는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미국 패권에 도전하는 것과 관련해 나누는 대화는 미국의 세기(世紀)는 끝나고 새로운 강대국이 부상해 그 자리를 대체할 것이라고 말해온 중국 메시지와 일맥상통한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이 같은 메시지가 미묘하게 표현돼 있다. 시 주석은 자신이 주도하고 러시아, 북한, 이란이 지원하는 새로운 초강대국의 존재를 노골적으로 선언하기에는 너무 많은 기교를 부리고 있다"며 "그는 그럴 필요가 없다.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이번 주 평양에서 그를 위해 이 같은 점을 분명히 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이 모든 것의 핵심은 중국의 태도이다. 일부 분석가는 일부 분석가는 시 주석이 두 이웃 국가가 자국 의존도를 낮추는 새로운 친밀감을 형성하는 데에 짜증을 낼 것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러시아와 북한이 좁은 국경을 넘어 무역을 확대하더라도 중국은 북한의 최대 무역 협력국으로 남을 것이다. 중국은 원한다면 연료와 식량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동시에 러시아가 북한을 향한 태도를 정반대로 틀었다고 봤다.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전까지는 서방과 마찬가지로 김 위원장과 북한 정권을 부정적으로 평가했지만 전쟁 뒤로 밀착 행보를 이어왔다는 것이다.
[베이징=AP/뉴시스] 블라디미르 푸틴(오른쪽) 러시아 대통령이 16일 중국 베이징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함께 중국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2024.05.16.

[베이징=AP/뉴시스] 블라디미르 푸틴(오른쪽) 러시아 대통령이 16일 중국 베이징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함께 중국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2024.05.16.


같은 맥락에서 푸틴 대통령이 지난해 9월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김 위원장을 만난 것은 자국 위상을 저해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매체는 "지난해 (정상회담은) 푸틴 대통령이 재앙적인 전쟁을 시작한 뒤로 얼마나 (국제 사회에서) 친구가 없어졌는지를 보여주는 척도였다"고 적었다.

이어 "오늘날 러시아와 북한의 우정을 놓고 더 이상 아무도 비웃지 않는다"라며 "이는 세계가 거의 인식하지 못한 채 스스로를 상호 적대적인 핵무장 연합으로 재편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또 다른 예시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위한 북한의 무기 지원은 그 일부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또 김 위원장이 식량과 연료를 받는 것만으로 푸틴 대통령에게 극진한 대접을 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전문가 의견을 인용해 핵잠수함·군사위성·대륙간탄도미사일(ICBM)·원격거리측정 등 첨단 기술 이전 가능성을 제기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북한 방문 중 김 위원장과 포괄적 전략동반자 협정을 체결하고 유사시 상호 지원을 제공하기로 결의했다. 김 위원장은 이 같은 러시아와 밀착을 두고 동맹 수준으로 관계가 격상했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