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올해 국내 건설수주 166.9조 전망…지난해 대비 12.1% 감소

등록 2024.06.27 14:00:00수정 2024.06.27 15:24:5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지난해 이어 올해까지 2년 연속 두 자릿수 수주감소

현재 건설시장 생존 위기…."위기 대응에 역량 집중"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24일 서울 시내 한 아파트 공사 현장에 타워크레인이 설치돼있다. 2024.06.24. kgb@newsis.com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24일 서울 시내 한 아파트 공사 현장에 타워크레인이 설치돼있다. 2024.06.2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올해 국내 건설수주가 전년 대비 12.1% 감소한 166조9000억원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이어 올해까지 2년 연속 두 자릿수 수주 감소세다.

박형렬 블리츠자산운용 부사장은 27일 한국건설경영협회가 서울 중구 연세세브란스빌딩 중회의실에서 개최한 '2024년 하반기 건설시장 환경변화와 대응 발표회'에서 올해 국내 건설시장이 민간건설경기 침체로 인해 2년 연속 두 자릿수 수주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상반기 중 국내건설 수주실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5.7% 감소한 가운데 공공부문은 1.5% 증가해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민간건설부문은 무려 22.3%의 큰 폭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하반기에는 금리 인하, 단기 금융시장 안정화 등을 예상해 수주 감소 폭은 8.4%로 다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지만, 연간으로는 12.1%의 수주감소세를 보이며 지난해 17.4%의 수주 감소에 이어 2년 연속 수주 감소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22년까지 성장세를 거듭해왔던 국내 건설시장이 금융시장 환경 악화로 2023년 이후 급격하게 둔화세에 접어든 이후 올해도 민간 부분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악화하고 있다는 게 박 부사장의 설명이다.

다만 공공부문의 경우 올해 SOC예산이 지난해 25조1000억원에서 다소 늘어난 26조4000억이지만, 민간 수주 감소 폭이 너무 빠르게 진행돼 국내 건설시장 전반의 하락세를 극복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국내 건설수주는 ▲토지 가격 조정 ▲금융비용 감소 ▲단기 유동성 개선 등을 통해 사업 수지가 개선되는 2025년 이후에나 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박 부사장은 "올해 주택부문의 신규 분양 계획은 35만호 수준으로 지난해 분양실적 21만호와 비교해 14만호나 증가했지만, 상반기까지 실제 분양으로 이어진 물량은 12만호 수준이고 하반기 분양계획 역시 시공사와 시행사(조합) 간 공사비 갈등을 비롯해 현장 안전 기준 강화, 시공 인력 부족, 인적 인프라 악화에 따라 품질 관리 능력 하락 등 다양한 불확실성이 존재함을 감안하면 2024년 실제 분양물량은 28만호 수준이 될 것"이라며 "전체 분양계획 물량 중 30%~40% 비중까지 확대된 재건축·재개발 분양의 일정 변동성이 크다는 점을 감안하면 장기적으로 실질 분양물량이 계획 대비 부진할 가능성 높아 보인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시스] 2024년 하반기 건설시장 전망.

[서울=뉴시스] 2024년 하반기 건설시장 전망.


이날 발표회에서는 국내 건설시장의 상황은 기업경영의 어려움이 지속적으로 가중되고 있다는 평가도 나왔다.

손태홍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2024년 하반기 건설산업 이슈와 대응방향’을 주제로 발표하며 "현재 건설시장 상황은 원자재가격 및 인건비 상승으로 건설공사비 부담과 부동산 PF 불안에 따른 건설기업 신용등급 하락 등으로 기업의 경영상 부담이 확산되고 있다"며 "주택을 중심으로 한 국내 건설수주 물량이 급감하고 있는 추세인 데다, 해외건설시장에도 올해 상반기 현재 전년 대비 개선된 수주 활동을 보이고 있지만 국내 시장 침체를 대체할 만큼의 변화는 아니다"고 말했다.

손 연구위원 ▲비용절감 ▲수익성 개선 ▲운영효율화 ▲사업관리 ▲재무관리 ▲사업포트폴리오 조정 ▲협력강화 ▲기술투자 등의 분야에서 단기적으로 시행가능한 영역에서 핵심역량을 확보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