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유엔관광청이 반한 제주 카름스테이 '최우수관광마을'

등록 2024.06.27 14:54:2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유엔관광청, 미식관광 우수사례로 '제주도' 지목

전세계 130개 최우수관광마을 중 유일하게 초청

[제주=뉴시스] 제1회 유엔관광청(UN Tourism) 아시아태평양지역 미식관광포럼. (사진=제주관광공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뉴시스] 제1회 유엔관광청(UN Tourism) 아시아태평양지역 미식관광포럼. (사진=제주관광공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제주 마을 여행 통합브랜드 카름스테이 최우수관광마을인 동백마을과 세화마을이 전세계 미식관광 우수사례로 꼽혔다. 이는 지난 3월8일 국제여성의날 기념 지속가능한 관광 모범사례 조명 이후 두 번째다.

27일 제주관광공사에 따르면 필리핀 세부에서 개최된 '제1회 유엔관광청(UN Tourism) 아시아태평양지역 미식관광포럼' 지역 혁신사례 공유 세션에서 제주 최우수관광마을 사례가 소개됐다.

제주의 미식관광 사례는 바로 최우수관광마을인 세화마을과 동백마을이다. 이들 마을은 작년 유엔관광청으로부터 전세계 최우수관광마을로 선정됐다.

공사는 이러한 마을에서 경험할 수 있는 미식관광에 집중했다. 실제 제주관광공사에서 발표한 자료(데이터로 보는 제주여행 여름편)에 따르면, 최근 여행객들은 지역주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도민명소를 많이 찾고 있다.

최근 2년간 도민명소 관련 언급량은 약 45% 증가했으며, 연관 검색어로 음식·맛집 키워드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공사는 세화마을과 동백마을의 전통적인 음식과 문화 그리고 이러한 제주의 맛을 보전하는 사례들을 집중 다뤘다.

구좌읍 세화마을의 경우 제주의 강인한 공동체를 상징하는 해녀와 함께 지역관광을 만들어가는 세화마을협동조합 사례를 선정했다.

유네스코 미식여행 밭한끼와 당근, 감자 등 특산물 활용 로컬 식음료, 구좌읍 해녀의 이야기와 공연을 담은 문화 다이닝 등 제주만의 문화유산 미식여행을 담았다.

남원읍 동백마을은 300년 마을설촌 전통을 바탕으로 후손들에게 동백자원과 문화를 계승 노력하는 신흥2리 동백고장보전연구회 사례로, 제주 토종동백 코스요리, 동백정원에서 즐기는 팜다이닝, 제철음식 고사리 파스타 등 제주의 건강한 마을밥상이 소개됐다.

[서귀포=뉴시스] 우장호 기자 =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31일 오전 서귀포시 남원읍 신흥2리 제주동백마을 방앗간을 찾아 동백 기름 제조 과정을 둘러보고 있다. 2024.05.31. woo1223@newsis.com

[서귀포=뉴시스] 우장호 기자 =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31일 오전 서귀포시 남원읍 신흥2리 제주동백마을 방앗간을 찾아 동백 기름 제조 과정을 둘러보고 있다. 2024.05.31. [email protected]

세션 좌장을 맡은 스페인 요리연구 및 교육 재단인 바스크 컬리너리 센터(Basque Culinary Center) ‘이도이아 칼레자(Ms. Idoia Calleja) 디렉터는 “유엔 최우수관광 마을에서의 미식관광 사례인 대한민국 제주의 특별함을 볼 수 있었다"며 주민이 지역자원과 문화를 보전하고 활용하는 노력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했다.

유엔관광청 관계자인 황해국 아시아태평양국장은 “제주는 카름스테이를 통해 정부와 주민간의 협력을 이끈 좋은 사례”라며 “유엔이 지향하는 지속가능한 관광 모범사례로 기대가 크다”고 전했다.

신현철 제주관광공사 관광산업실 지역관광팀장은 "제주의 미식관광은 척박한 땅 화산섬 제주에서 살아온 제주인들의 지혜와 정신을 경험하는 여행으로, 특히 입말로 전해져온 제주 로컬음식은 지친 몸과 마음을 달래주는 이 시대의 진정한 치유밥상"이라며 "이러한 여행은 바로 도민의 삶인 마을에서 머물렀을 때 경험할 수 있는 것으로 앞으로도 체류형 마을관광 정책을 더욱 고도화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유엔관광청과 필리핀관광부에서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미식관광이라는 주제를 다룬 국제포럼으로, 최근 글로벌 여행의 주요 트렌드로 떠오르는 미식관광이 지역의 지속가능한 사회·경제적 발전, 문화관광 교류 등에 미치는 영향과 그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포럼에는 칠레, 크로아티아,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태국, 필리핀, 일본, 중국, 홍콩, 대한민국 등 유엔관광청 회원국 정부기관, 단체, 업계, 학계 등 약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을 이뤘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