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구리 박막서 전자 아닌 양공이 전류 지배적 운반' 규명

등록 2024.07.22 09:56:3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부산대 등 공동연구진

[부산=뉴시스] 왼쪽부터 정세영·옥종목·양희준·김용관·김성곤 교수. (사진=부산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뉴시스] 왼쪽부터 정세영·옥종목·양희준·김용관·김성곤 교수. (사진=부산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부산대학교와 KAIST, 미국 미시시피주립대학교 등 공동연구진은 아주 얇고 고르게 만들어진 구리 박막에서 전자가 아닌 양공(hole)이 주로 전류를 운반한다는 사실을 밝혀내 도체인 구리가 반도체 기능까지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부산대는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정세영 명예교수와 물리학과 옥종목 교수가 KAIST 물리학과 양희준·김용관 교수, 미국 미시시피대학교 물리·천문학과 김성곤 교수 등으로 구성된 공동연구진이 양공이 주수송자인 2차원 단결정 구리를 개발하고 그 수송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진은 아주 얇고 고른 구리 박막, 즉 결정립계(결정 결함)가 전혀 없는 2차원 단결정 구리 박막에서 비선형적 홀 효과를 관측하고, 전자가 아닌 양공이 지배적으로 전류를 운반하는 역할을 함을 규명했다.

전류가 자기장에 의해 한쪽으로 휘는 현상을 홀 효과라고 하며, 이는 전류를 이루는 전자들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한다.

이번에 연구팀이 구리 박막에서 관측한 '비선형적 홀 효과'는 이같은 현상이 단순히 비례하지 않고 복잡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흔히 전류는 전자가 움직이면서 생긴다고 생각하지만, 연구진은 비선형적 홀 효과를 관측하고 구리에서 전자 뿐만 아니라 양공도 전류를 운반할 수 있는 주요 수송자임을 알아냄으로써 전기적 성질의 이해를 넓히고 전자소자, 나노기술, 재료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발전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중요한 발견을 해냈다.

이번 연구에서 재발견한 재료는 구리다. 구리는 전자를 주 수송자로 갖는 대표적 물질이다. 보통 구리 내에는 ㎤당 1023개의 전자가 존재한다. 구리의 전자에 의한 수송은 높은 전기전도도와 낮은 저항을 제공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생활 속에서 매우 중요한 도체로 활용돼 오고 있다. 하지만 이 구리가 수십 나노 두께로 얇아지고 결정립계가 완전히 제거되면 2차원적 특성을 나타내면서 전자들이 양공처럼 보이게 된다.

흔히 알고 있는 것처럼 3차원의 구리에서는 단결정이거나 다결정이거나에 관계없이 전자가 주된 수송자가 된다. 그러나 박막이 200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두께의 얇기에 이르면 서서히 전자가 양공으로 바뀌게 되고 낮은 온도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40nm 두께 이하의 단결정 구리 박막에서는 95% 이상의 수송자가 양공이 된다.
 
연구진은 'Atomic Sputtering Epitaxy'(ASE) 법에 의한 2차원 구리 박막의 성장을 통해 결정립계가 전혀 없는 단결정 박막을 구현했고, 여기서 홀 측정과 추가적인 각도분해광전자방출분광법(ARPES) 관측을 통해 전자가 아닌 양공이 지배적 수송자로 나타남을 입증했다. 이 양공의 농도는 결정립계의 밀도에 의존함도 밝혀냈다.

구리와 같은 금속 내에서 결정립계에서의 수송자 산란으로 인해 수송현상의 본질적인 특성이 가려져 있었고, 결정립계가 전혀 없는 2차원 박막을 성장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2차원 구리의 본질적 수송 특성은 양공에 의한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2차원 구리에서 양공이 지배적인 수송자가 되는 기원을 밝힌 이번 연구는 'Hole-Carrier-Dominant Transport in 2D Single-Crystal Copper'(2차원 단결정 구리에서 양공의 지배적 수송현상)라는 제목으로 세계적인 재료과학 전문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 온라인판 7월18일자에 발표됐다.

이번 연구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의 핵심연구지원센터 조성지원사업 지원을 받아 부산대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정세영 명예교수, 카이스트 물리학과 양희준 교수, 김용관 교수, 미국 미시시피주립대 김성곤 교수가 공동 교신저자, 부산대 물리학과 옥종목 교수, 성균관대학교 강경록 박사(현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카이스트 현정훈 박사과정생이 공동 제1저자로 수행했다.
  
정세영 교수는 "이같은 획기적인 발견은 결정립계 엔지니어링을 통해 금속의 다수 캐리어 극성을 조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앞으로 전자공학과는 또 다른 '금속전자공학'(metaltronics)이라고 하는 새로운 장을 여는 서막을 예고한다"면서 "반도체에서의 전자가 전이해 양공을 남기고 에너지띠에서 띠간격을 만듦으로써 반도체 소자로서 활용이 되지만 구리에서의 전자와 양공은 같은 페르미 표면상에 존재한다. 즉, 반도체와 같은 밴드갭이 없다. 이를 반도체처럼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른 일함수를 갖는 금속과 접목을 하거나 기하적 구조를 이용한 패터닝 기술이 접목되는 등 몇 가지 과정을 더 거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