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유엔 北인권결의안 만장일치 채택 환영"…'강제노동 노예화' 문안 등 추가
올해로 10년 연속 만장일치 채택…"北인권 개선 단합된 메시지"
북한군 러시아 파병 우려 반영해 北 과도한 무력사용 자제도 촉구
![[ 제네바=신화/뉴시스]2023년 7월15일에 열린 제 52차 유엔인권이사회 (UNHRC)에서 참가국 대표들이 회의를 하는 모습. 2025.04.03.](https://img1.newsis.com/2023/07/15/NISI20230715_0019959343_web.jpg?rnd=20231005075427)
[ 제네바=신화/뉴시스]2023년 7월15일에 열린 제 52차 유엔인권이사회 (UNHRC)에서 참가국 대표들이 회의를 하는 모습. 2025.04.03.
외교부는 이날 대변인 논평을 통해 "유엔 인권이사회가 올해로 10년 연속 북한 인권 결의를 컨센서스로 채택한 것은 북한 인권 상황의 심각성과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보여주는 것이며, 북한 인권 개선을 촉구하는 국제사회의 단합된 메시지를 발신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정부는 이번 결의안 문안 협의 과정에 적극 참여해 북한 강제노동이 반인도범죄인 노예화에 해당될 가능성을 지적하는 문안을 추가하는 등 북한의 강제노동 관련 문안 강화를 이끌었다고 외교부가 전했다.
또한 북한에 자의적으로 구금된 사람들의 즉각 석방을 촉구하는 문안을 추가함으로써 우리 국민 선교사 3명을 포함한 북한내 억류자 문제의 해결 필요성을 적극 제기했다.
이번 결의에는 북한군 러시아 파병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반영, 민간인 고통과 인권 침해를 심화하고 국제안보를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는 지역에서 북한이 치명적이고 과도한 무력 사용을 삼갈 것을 촉구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외교부는 "우리 정부는 북한 인권 결의가 지적하고 있듯이 북한내 조직적이고 광범위하며 중대한 인권 침해가 지속되고 있는 점에 깊이 우려한다"며 "올해 9월 제60차 인권이사회에 제출될 유엔 인권최고대표의 북한 인권 상황 관련 포괄적 보고서와 확대 상호대화 등 다양한 계기에 심각한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인권이사회 이사국으로서 인권이사회를 비롯한 유엔 차원에서 북한 인권 상황의 심각성을 알리고, 북한 인권 상황 개선을 위한 다차원적인 노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pjh@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