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보이즈, 전기차로 확산…계속되는 '도난 불안'
내연기관 도난 사태, EV로 확산
'기아보이즈' 여파, 신차에도 충격
보안 소프트웨어 효과는 제한적
브랜드 신뢰 회복, 과제 남아
![[서울=뉴시스]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올라온 현대차와 기아 차량을 대상으로 한 청소년들의 차량 절도 범죄 화면. (사진=유튜브 갈무리) 2025.04.0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4/04/NISI20250404_0001810049_web.jpg?rnd=20250404155858)
[서울=뉴시스]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올라온 현대차와 기아 차량을 대상으로 한 청소년들의 차량 절도 범죄 화면. (사진=유튜브 갈무리) 2025.04.0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과거 내연기관 모델을 중심으로 발생했던 이른바 '기아보이즈(Kia Boys)'의 조직적 차량 절도 범죄가 최근 전기차(EV) 모델로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차량을 훔치는 범죄 수법도 갈수록 진화하고 있고, 아이오닉 5와 코나 EV 같은 신형 차량도 도난 대상에 속속 포함되면서 소비자 불안이 이어지고 있다.
전기차 모델도 도난 범죄 대상
이 도난 차량 중 2011~2021년형 이모빌라이저(도난 방지 암호 장치) 미탑재 모델이 다수여서, 구조적 결함이 지적됐다. 당시 해당 차량의 도난 건수는 이전대비 1000% 이상 급증하기까지 했다.
현대차·기아는 2023년부터 보안 소프트웨어 무상 업데이트와 스티어링휠 락 및 경고 스티커 배포 등으로 사후 조치에 나섰다.
미국 고속도로손해보험연구소(HLDI)에 따르면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차량의 도난율은 미설치 차량 대비 64% 감소했다. 하지만 2023년 말 기준 설치율은 30%에 그쳤고, 지난해 초에 60%를 넘긴 상황이다.
더 큰 문제는 소프트웨어 적용 이후에도 도난 피해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 등에는 "업데이트와 스티커 모두 적용했지만 차량을 도난 당했다"는 피해 사례가 잇따른다.
실제 일부 모델은 구조적 취약점으로 인해 운전석 도어락을 물리적으로 파손하면 보안 시스템을 우회할 수 있다.
한 미국 소비자는 "스티커는 오히려 '문고리를 부수라'는 신호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현대차는 "도난 방지 시스템은 키 포브(무선 도어 잠금 장치)로 차량을 잠갔을 때만 활성화되며, 일부 모델은 하드웨어 문제로 업데이트가 제한된다"고 설명했다. 이 경우 도난을 막기 위해 운전대를 물리적으로 잠그는 차량용 자물쇠가 필요하다.
보험 업계도 기아보이즈 대응에 나섰다.
미국 일부 보험사는 현대차·기아 일부 모델에 대한 보험 인수를 거부하거나 보험료를 대폭 인상했다. 중고차 시장에서도 해당 모델의 감가상각비가 커지는 등 여파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서울=뉴시스] 미국 델라웨어주 경찰이 현대차 도난을 방지하기 위헤 제공한 운전대 잠금 장치 모습. (사진=델라웨어주 경찰 사이트 갈무리) 2025.04.0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4/04/NISI20250404_0001810052_web.jpg?rnd=20250404160039)
[서울=뉴시스] 미국 델라웨어주 경찰이 현대차 도난을 방지하기 위헤 제공한 운전대 잠금 장치 모습. (사진=델라웨어주 경찰 사이트 갈무리) 2025.04.0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전 세계 완성차 업계 공통의 문제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지난해 2월 이후 출시된 차량에는 유럽연합(EU)과 북미의 최신 사이버보안 기준을 충족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보안 기술이 적용됐다"며 "아이오닉 5 등 기존 차량 소유자에 대해서도 보안 강화 패키지를 마련해 이를 적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경찰 및 보험업계 등과 긴밀히 협력해 도난 방지와 소비자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시스]](https://img1.newsis.com/2025/04/04/NISI20250404_0001810065_web.jpg?rnd=20250404160549)
[서울=뉴시스]
차량 도난 수법, 갈수록 진화
최근에는 스마트키 신호를 아예 복제하거나 차량 시스템을 해킹하는 방식으로 절도가 늘고 있다. 복제 장치는 휴대전화 크기로, 인터넷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도난 범죄 확산 우려가 크다.
특히 에뮬레이터로 차량 시스템 자체를 해킹해 새로운 스마트키를 생성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소프트웨어 활용도가 높은 미래차일수록 해킹에 더 취약하다는 지적이다.
이런 가운데 글로벌 주요 국가들은 차량 보안을 아예 의무화하고 있다.
유럽경제위원회는 2021년부터 사이버 보안 법규를 시행해 관련 인증 차량만 출시할 수 있게 했다. 한국 역시 이에 동참하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그럼에도 불구, 완성차 업체들이 차량 보안 기술을 더 철저히 검증하고, 정부도 관리·감독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권헌영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제조사들이 차량 보안 기술을 제대로 검증하는 절차를 갖춰야 한다"며 체계적인 관리 필요성을 강조했다.
권 교수는 "소프트웨어 보안뿐 아니라 실제로 차량 보안 조치가 잘 되고 있는지 정부가 관리·감독을 철저히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heesuk@newsis.com, hun88@newsis.com, parkhj@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