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정부, 연 1조 '디지털 기술개발'에 투입…AI반도체·6G·양자 등 집중투자

등록 2022.06.28 17:00:00수정 2022.06.28 18:53:0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21회 심의회의 개최

디지털 패권국가 도약을 위한 '디지털 기술혁신 및 확산전략' 의결

정부, 연 1조 '디지털 기술개발'에 투입…AI반도체·6G·양자 등 집중투자


[서울=뉴시스]이진영 기자 = 정부가 연 1조원 규모의 정부 디지털 기술개발 투자를 인공지능(AI), AI 반도체, 5G·6G, 양자, 메타버스, 사이버보안 등 6개 디지털 혁신기술 분야에 집중 배치키로 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28일 부의장인 염한웅 포스텍 교수 주재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21회 심의회의'를 개최해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디지털 패권국가 도약을 위한 '디지털 기술혁신 및 확산전략'을 확정했다.

과기부는 기술패권경쟁 시대에 초격차 확보를 위해서는 기존의 추격형 기술개발 지원 구조를 넘어설 새로운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연 1조원 규모에 달하는 디지털 R&D 전반에 대한 대전환을 추진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이번 전략은 새 정부 국정과제에 따라 검토되고 있는 '국가 차원의 전략기술' 중 디지털·ICT 분야에 관한 혁신전략으로, 관계부처 합동으로 추진될 '국가 전략기술 체계'내에 수립돼 이행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세계 최고 수준(최고국 대비 90% 이상) 기술력 확보를 위해 연 1조원 규모의 정부 디지털 기술개발 투자를 인공지능(AI), AI 반도체, 5G·6G, 양자, 메타버스, 사이버보안 등 6개 디지털 혁신기술 분야로 집중하기로 했다.

둘째로 디지털 기술개발 사업 추진방식을 임무지향·문제해결형과 기술축적형의 양대 체제로 개편하기로 했다.

 임무지향·문제해결형 기술개발은 시장수요가 명확한 기술을 개발해 파급 효과를 극대화하는 기술개발 방식이다. 기획단계에서는 구체적 미래 제품·서비스를 지향하되 충분히 도전적인 연구개발(R&D) 문제를 정의·제시하고 연구·개발단계에서는 연구자가 문제해결을 위한 기술방식을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허용한다. 정부는 수요기업의 참여를 포함해 산·학·연 협력을 지원한다.

기술축적형 기술개발은 불확실한 미래기술에 도전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개척하는 연구 방식이다. 창의적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우수 성과를 도출한 연구자에게 대규모 후속 연구를 지원함으로써, 우수 연구자가 산·학·연의 구심점이 돼 산업혁신을 추동할 수 있도록 육성하는 구조다. 대규모 실용화 연구를 담당할 최우수 연구자의 경우 최대 11년간 340억원을 지원 받게 된다.

세번째로는 확보된 기술의 신속한 시장 확산을 지원해 2027년까지 향후 5년간 디지털 혁신기술 기반 기술이전·기술창업 성과를 3000건 이상 창출하기로 했다.

넷번째로는 디지털 혁신기술 분야의 탑티어급 기술인력을 3만명 양성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대학정보통신기술연구센터사업(ITRC), 특성화대학원을 6대 분야에 집중·확대해 초격차를 선도할 수 있는 고급 연구인재양성 규모를 확대하고, 기업·지역의 현장수요 맞춘 실전형 인재공급 규모도 확대할 예정이다.

과기부는 디지털 분야의 R&D 종합전략으로서 '디지털 기술혁신 및 확산전략' 발표를 시작으로, 인공지능(AI), 차세대 네트워크, 메타버스 등 기술분야별 육성전략을 연내 후속 발표할 계획이다.

염한웅 부의장은 "대전환 시대에 기술 패권에서 승자가 되기 위해서는 정부 연구개발 적기 투자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첨단산업 분야의 연구개발 전략을 기반으로 적극적인 연구개발 투자가 미래 경쟁력 확보와 기술 선점을 위한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에서는 연구현장을 신속히 지원해 투자가 성과로 이어지도록 후속 조치 이행에 힘써달라"라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심의회의에서 주요 연구개발(R&D) 예산 규모를 올해 대비 1.7% 증가한 총 24조6601억원으로 확정한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을 의결했다. 이 안은 이달 말에 기획재정부에 통보되며, 기획재정부는 8월 말까지 내년도 정부 예산안을 확정해 국회에 송부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