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中언론·전문가, '사드 3불1한' 침묵…네티즌들만 "한국에 호감 없어져"

등록 2022.08.11 14:51:0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中언론·전문가 함구는 사안의 민감성 방증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왕이(王毅)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9일 중국 산둥성 칭다오에서 박진 외교부 장관과 한·중 외교장관 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외교부 제공) 2022.08.0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왕이(王毅)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9일 중국 산둥성 칭다오에서 박진 외교부 장관과 한·중 외교장관 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외교부 제공) 2022.08.09.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문예성 기자 = 한국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와 관련해 중국 정부가 ‘3불 1한’을 주장한 뒤 관영 언론과 관변 학자들은 이에 대해 침묵하고 있다. 반면 소셜미디어(SNS) 등 인터넷에서는 네티즌들이 한국에 대한 반감을 드러내고 있다.

사안의 민감성을 반영해 중국 정부가 후속 보도 및 분석을 통제하는 반면, 네티즌들이 온라인상에서 반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은 두고 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10일 정례 브리핑에서 "한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대외에 3불(不) 1한(限) 정책을 서약했다"며 "중국은 한국 정부의 이런 입장을 중시했고 한중 양측이 (이런) 이해에 따라 단계적으로 적절히 사드 문제를 처리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다음날인 11일 관영 언론과 관변 전문가들이 약속이나 한듯이 이 사안에 대해 아무런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정치적으로나 외교적으로 그만큼 민감한 사안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사드 3불’은 지난 2017년 문재인 정부가 밝힌 방침이다. 한국이 사드 추가 배치를 검토하지 않고 있고, 미국 미사일방어(MD)체제에 동참하지 않으며, 한미일 안보 협력이 군사동맹으로 발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1한은 경북 성주군에 배치된 사드 운용까지 제한한다는 의미다.

중국은 사드 ‘3불 1한’을 '한국 정부의 약속'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국 정부가 관련 사안에 대한 입장을 밝힌 이후 관영 언론들은 사설 혹은 논평, 관변 전문가를 인용한 분석기사를 내놓으며 자신들의 정당성을 주장한다.

그러나 중국 정부의 목소리를 적극 대변하고 있는 환추스바오 등 관영 언론들조차 이번엔 추가 보도를 하지 않고 있다.

반면 중국 네티즌들은 한국에 대한 반감을 밝히면서 자국 정부의 강경 대응을 촉구하고 있다.

네티즌들은 SNS에 "한국에 대한 호감이 없어졌다", “한한령(중국내 한류 금지령)을 절대 철회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네티즌은 “미국이 정책을 조정함에 따라 한국과 일본이 이랬다저랬다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