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이라크에 군용기 2대 띄운다…노동자 297명 24일 귀국(종합)

등록 2020.07.22 16:50:17수정 2020.07.23 10:32:5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인천공항 통해 입국…음성 나와도 2주간 시설격리

정부, 6개국 1707명 귀국 지원…지역전파 사례 無

앞서 귀국 이라크 건설근로자 105명 중 45명 확진

이라크 카르발라 정유공장 현장 전경.(사진제공=현대건설)

이라크 카르발라 정유공장 현장 전경.(사진제공=현대건설)

[세종=뉴시스] 변해정 임재희 기자 = 정부가 오는 23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급속도로 확산 중인 이라크에 파견된 우리 근로자 297명을 수송하기 위한 전세기 2대를 띄운다.

앞서 이라크에서 귀국한 건설 노동자 105명 중 지금까지 45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22일 정례 브리핑에서 국토교통부로부터 보고받은 '이라크 건설근로자 수송 및 방역 관리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23일 정부합동 신속대응팀을 이라크로 보내 귀국을 희망하는 근로자 297명을 데려온다.

투입되는 전세기는 군용기인 공중급유기(KC-330) 2대이며, 이튿날인 24일 오전 인천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다.

신속대응팀은 외교부와 국방부, 의료진(군의관 1명, 간호장교 1명, 검역관 2명)으로 구성됐으며, 귀국 과정에서의 감염 발생을 막기 위해 탑승 전 근로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해 좌석의 60% 이하로 탑승시키되, 유·무증상자의 좌석을 분리한다. 기내에서의 응급 상황에도 대비한다.

탑승 근로자들은 입국 후 공항 내 별도 게이트를 통해 입국 검역을 받는다. 검역 단계에서 유증상자로 분류되면 즉시 인천공항에서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게 되고, 무증상자는 임시생활시설로 이동해 진단검사를 받는다.

검사 결과 양성이 나오면 의료기관 또는 생활치료센터로 이송돼 치료를 받게 된다.

음성으로 판정되더라도 다음달 7일까지 2주간 임시생활시설에서 시설격리를 하게 된다. 임시생활시설에는 의사와 간호사로 구성된 의료지원 인력이 상주해 입소자들의 건강 상태와 코로나19 증상 여부를 확인·관리하게 된다.

정부는 그간 임차 전세기를 투입해 총 6개국 1707명의 귀국을 도운 바 있다.

정부는 또 이라크 현지에 남는 우리 건설근로자들의 안전을 위해 비대면 진료서비스와 방역물품 등을 정부 차원에서 지원할 계획이다. 이라크 정부에는 마스크 5만 장을 전달한다. 

김강립 중대본 1총괄조정관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최근 이라크에서 귀국한 우리 건설근로자 중 확진자가 발생해 자칫 지역사회로 감염이 확산되지 않을까 염려가 있을 줄로 안다"면서도 "먼 이국땅에서 감염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된 우리 국민들이 안전히 귀국하도록 돕고 안심하며 진단검사와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국가의 가장 기본적인 책무"라고 했다.
 
김 1총괄조정관은"그간 6개국 1707명의 안전한 귀국을 지원하면서 단 한 건의 지역사회로의 감염 전파가 없었다"면서 "이라크 건설근로자의 이송에 있어 해외유입 감염의 지역사회 전파가 없도록 방역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라크 현지에 남는 우리 건설근로자들의 안전을 위해 비대면 진료서비스와 방역물품 등을 정부 차원에서 지원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정부는 해외에 있는 우리 국민들의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지난 14일에는 현지 확진자 급증으로 건설사에서 마련한 항공편을 통해 105명의 노동자들이 귀국한 바 있는데 이들 가운데 42.8%인 45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오전 0시를 기준으로 15일 14명, 16일 20명, 17일 6명, 18일 1명, 20일 2명, 21일 1명, 22일 1명 등이다.

현대건설과 GS건설, SK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등 4개 건설사가 컨소시엄 형태(카르발라 JV)로 사업을 벌이고 있는 현장에는 4개 건설사 직원과 하도급 협력업체 직원 등 한국인 노동자 680여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여전히 300여명이 필수인력으로 남아 있는 상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