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박능후 "日 확진자 3달만 300명대…대규모 재확산 기로 위태로운 상황"

등록 2020.11.19 09:02:1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19일부터 서울·경기·광주·철원서 1.5단계 실시

"불감증이 방역성과 한순간에 물거품 만들어"

"2주간 철저한 비대면 사회 되도록 노력해야"

[서울=뉴시스]배훈식 기자 =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이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대본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0.11.19. dahora83@newsis.com

[서울=뉴시스]배훈식 기자 =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이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대본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0.11.19.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정성원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가 지난 8월 말 이후 세 달만에 300명대로 증가하는 등 최근 확진자 수 증가세에 정부도 우려를 표했다.

정부는 서울, 경기, 광주, 철원 등 4곳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1.5단계가 실시되는 19일부터 2주간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1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며 이 같이 말했다.

박 1차장은 "일일 확진자 수가 8월 말 이후 석 달만에 300명대로 다시 증가했다"며 "지난 주말부터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가리지 않고 확진자 수가 가파르게 늘어나면서 대규모 재확산의 기로에 선 위태로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의 국내 발생 현황에 따르면 지난 18일 오전 0시 기준 국내 코로나 신규 확진자는 313명이다. 8월말 이후 81일만에 가장 많은 일일 신규 확진자가 나온 것이다.

박 1차장은 "최근 들어 식당과 주점 등에서 코로나19 이전 상황으로 돌아간 것 같은 모습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며 "방역 피로감, 방역 불감증이 그동안 우리의 희생과 노력으로 만든 방역 성과를 한 순간에 물거품으로 만들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확짅자 수 증가가 보여주듯이 지금은 코로나19가 일상 싶숙이 파고 들어 그 어디에도 안전지대는 없다"며 "긴장의 끈을 다시 조이고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만이 나와 우리 가족, 우리 사회를 지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중대본 회의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에 따른 음식점, 스포츠 경기장 등 다중이용시설 현장방역 강화 방안을 논의한다. 앞서 이날 오전 0시부터 서울, 경기, 광주, 강원도 철원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1.5단계가 실시되고 있다.

박 1차장은 '거리두기 단계가 더 이상 높아지지 않도록 앞으로 2주간을 집중 방역기간으로 삼아 우리 사회 모두가 총력 대응해야 할 것"이라며 "2주간 철저한 비대면 사회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1차장은 "거리두기 강화로 일상생활과 생업에 불편을 끼쳐드려 안타깝다"며 "우리 모두가 방역 전선에 나서지 않는다면 돌이키기 어려운 재난적 상황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서민 경제에 심대한 타격을 입히는 2단계 조치 없이 이번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철저한 방역수칙 실천을 당부드린다"고 덧붙였다.

또 이날부터 다음달 3일 대학수학능력시험을 2주 앞두고 전국적으로 수능 대비 특별방역기간이 시작되는 만큼 안전한 수능을 위해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1차장은 "12월3일은 우리 아이들이 수능을 치르는 날"이라며 "아이들이 안전한 환경 속에서 수능에 집중할 수 있도록 방역 실천에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박 1차장은 "회식과 모임을 일제히 자제하고, 공공기관이나 민간기업도 이 기간만큼 대면회의와 출장을 피하고 재택근무나 시차근무제 등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며 "발열, 기침 등 증상이 있으면 등교와 출근을 하지 말고 바로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