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시청각장애인 차별없이 TV 본다…KT부터 시작
"어떤 유료방송에서도 누릴 수 있도록 확대 계획"

시·청각장애인들을 위해 IPTV 셋톱박스에 장애인방송 특화기능을 발굴하고 장애인 이용에 최적화된 기능을 개발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방통위는 지난해부터 유료방송에 가입한 시청각 장애인들의 방송시청 환경 개선을 위해 공모를 통해 협력 사업자를 선정해 지원하고 있다.
방통위는 작년 협력 사업자로 선정된 KT와 함께 유료방송 장애인의 방송시청 편의성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을 추진해왔다. KT는 올레tv 기가지니 셋톱박스에 장애인 시청자의 편의를 위해 고도화된 기능을 구현했다.
청각 장애인을 위해 실시간으로 모든 음성 내용을 문자로 방송해주는 폐쇄자막을 개인별 설정에 따라 크기, 색상, 투명도, 배경색, 줄간격, 위치 등을 조정할 수 있게 했다.
시각 장애인을 위해서는 채널이동, 음량조절 등 음성 명령에 대한 동작 결과와 메뉴화면이나 프로그램 정보 등을 음성으로 안내받을 수 있는 기능을 개발했다.
기가지니 셋톱박스를 이용하는 유료방송 가입자는 별도의 가입이나 조치를 하지 않아도 자동 업그레이드를 통해 시청각장애인의 특화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향후에 방통위는 시·청각장애인이 어떤 유료방송을 선택하더라도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협력 사업자를 확대해 나가기 위해 하반기 중 사업자 선정을 위한 공모를 추진할 방침이다.
한상혁 방통위원장은 "코로나19로 비대면 방식이 일상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시·청각장애인들의 미디어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사회적·문화적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며 "앞으로도 격차 없는 미디어 포용 환경 구현을 위해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mint@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