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한국뇌연구원, 사회적 딜레마의 뇌 속 메커니즘 밝혀

등록 2021.11.24 09:50:0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좌측부터)정세진 연구원, 구자욱 책임연구원 *재판매 및 DB 금지

(좌측부터)정세진 연구원, 구자욱 책임연구원 *재판매 및 DB 금지

[대구=뉴시스] 박준 기자 = 한국뇌연구원(KBRI)은 노력과 보상에서의 불균형을 유도하는 사회적 딜레마 모델에서 개인이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대한 신경생물학적 설명을 발견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정서·인지질환연구그룹 구자욱 책임연구원과 정세진 연구원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정민환 교수와 안소연 박사과정생, 기초과학연구원(IBS) 강유정 연구기술원, 이종원 연구위원, 미 와싱턴 대학의 김진숙 제임스 김(Jeansok James Kim) 교수 등이 참여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PNAS)에 게재됐다.

레버를 누르면 반대편 먹이 그릇으로부터 먹이를 공급받는 훈련을 받은 3마리의 쥐가 함께 공존하게 되면 한 개체는 레버를 누르지만 먹이를 제대로 얻지 못하는 일꾼(worker) 개체로, 다른 개체들은 레버를 누르지 않고도 먹이를 얻는 기생(parasite) 개체로 분화하게 된다.

즉, 모든 개체는 같은 보상 훈련을 받았지만 3마리가 공존할 때에는 한 마리 일꾼 쥐의 노력으로 다른 2마리에게 기생한 쥐들이 보상을 받는 것이다.

실험동물을 이용한 사회성 행동 모델연구에서 기생 쥐보다 일꾼 쥐에서의 전방대상피질(anterior cingulate cortex, ACC) 활성이 유의미하게 증가돼 있음이 관찰됐다.

해당 뇌 영역의 활성을 억제할 경우 일꾼 쥐라 하더라도 기생 쥐와 같이 레버를 누르지 않고 먹이를 기다리는 것이 발견됐다.

반면, 보상이 주어질 수 있는 환경에 쥐가 혼자 있는 경우 기생 쥐라 하더라도 레버를 눌러 먹이를 획득했으며 전방대상피질 활성을 억제해도 보상추구행동을 멈추지 않았다.

연구팀은 해당 행동모델에서 일꾼 쥐의 전방대상피질에서 뇌신경세포의 활성을 저해하는 GABAA 수용체 및 K+(포타슘) 채널 관련 유전자들이 더 적게 발현함을 밝혀냈다.

이는 해당 유전자들이 일꾼 쥐에서 관찰되는 전방대상피질의 활성 증가를 설명하는 기전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연구팀은 "사회적 상황에 따라 각 개체가 보이는 보상추구행동 및 분자생리기전에서의 차이를 통해 경제학의 파레토 법칙(Pareto principle)에서 나타나는 노동의 대가를 위한 개인의 노력 차이를 신경생물학적 측면에서 고찰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기초과학연구원, 국립보건원, 한국연구재단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한국뇌연구원 기관고유사업 등의 도움을 받아 진행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