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한전 '직류 배전' 전환 선언…"송전망 건설 갈등 지역부터"

등록 2024.11.10 07:58:52수정 2024.11.10 09:57: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한전, 교류 송배전→2030년부터 본격 '직류 전환'

직류 송배전 전자파 '청소기 수준'…건강권 민원 해소

HVDC 송배전설비 공공 갈등 줄여 줄 기술로 주목

[광주=뉴시스]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이 6일 광주 김대중 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된 BIXPO2024 개막식에서 'DC 비전'을 선포하고 있다. 2024.11.06 photo@newsis.com

[광주=뉴시스]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이 6일 광주 김대중 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된 BIXPO2024 개막식에서 'DC 비전'을 선포하고 있다. 2024.11.06 [email protected]


[나주=뉴시스]이창우 기자 = 국내 송배전 방식의 대전환이 이뤄질 전망이다.

김동철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최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빛가람 전력기술 엑스포(빅스포 2024)'에서 현재 주류를 이루고 있는 교류(AC) 송배전 방식을 직류(DC)로 전환하는 것을 골자로 한 'DC 비전'을 선언 해서다.

이 같은 비전 제시는 국내 전력 계통 대부분이 주파수 안정도가 떨어지고 송전 과정에서 전력 손실이 큰 AC 방식이어서 미래 전력망으로 불리는 DC 방식 도입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DC 송·변전 방식은 '전자파 영향이 가정용 로봇청소기나 프린터기 수준'에 불과해 대규모 고압 송전선로 건설 과정에서 불거지는 '전자파에 의한 건강권 침해' 갈등을 줄여 줄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10일 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한전은 앞으로 새로 설치하는 설비부터 직류 방식을 적용하고 재무 상황이 개선되면 기존 교류 설비를 직류로 점차 전환한다는 계획으로 알려졌다.

송배전 방식의 직류 전환은 에너지 효율성과 지속 가능성 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른 한전의 타임라인은 '단기→중기→장기' 계획으로 구성돼 있다.

먼저 단기는 2025~2026년까지 DC 기반 마련→협력 공동연구 시범사업 추진→공급 약관, 표준화 기반을 마련한다. 중기는 2027~2029년까지 DC 생태계 구축→대규모 실증연구→DC 요금제 마련·국제표준화를 진행한다. 장기로 돌입하는 2030년부턴 전주기 DC활성화→기술 신뢰도 향상·보급 확대→에너지 효율화 제도 반영 방안 수립을 추진한다.
[창원=뉴시스] 한국전기연구원 창원 본원에 구축되어 26일 준공식을 가진 'HVDC(초고압 직류송전) 시험동' 내부 시험인프라 장비.(사진=한국전기연구원 제공) 2023.04.26. photo@newsis.com

[창원=뉴시스] 한국전기연구원 창원 본원에 구축되어 26일 준공식을 가진 'HVDC(초고압 직류송전) 시험동' 내부 시험인프라 장비.(사진=한국전기연구원 제공) 2023.04.26.  [email protected]


한전의 야심 찬 '송·변전망 DC 전환'은 전국 곳곳에서 일고 있는 고압송전선로 건설 갈등 해소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전남 남해안에 들어선 대규모 태양광발전 시설과 남·서해안에 조성 중인 해상풍력발전 시설에서 만든 전력을 내륙을 경유해 수도권 산업단지로 끌고 오는 것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송전선로가 계획된 지역 주민들의 강력한 반발 때문에 제2·3의 밀양 송전탑 사태로 이어질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전남의 경우 함평군 주민들이 신안의 해상풍력발전과 해남의 태양광발전 345㎸ 송전철탑이 함평을 경유 하는 것에 강력하게 반발하며 한전 나주 본사 앞에서 3개월째 집회를 이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신안=뉴시스] 전남 신안군 자은도 해상풍력 발전단지 전경. (사진=전남도 제공) 2023.03.06. photo@newsis.com

[신안=뉴시스] 전남 신안군 자은도 해상풍력 발전단지 전경. (사진=전남도 제공) 2023.03.06. [email protected]


함평 9개 읍·면 주민으로 구성된 '송전철탑 건설저지 함평군민 대책위'는 주민 건강권을 위협하는 '전자파 영향'을 고압 송전선로 건설 반대의 가장 큰 이유로 꼽고 있다.

'송전설비주변법'에는 345㎸ 송전선로의 경우 재산적 보상은 13m 이내이고, 주택 매수 청구는 60m 이내, 전자파 영향을 우려해 시행하는 지원사업은 700m 이내로 제한하고 있다.

함평군 대책위 관계자는 "345㎸ 고압 송전선로 700m 이내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 대부분은 '전자파로부터 안전한 건강권 수호'가 급선무라서 소소한 지원에는 관심이 없다"며 송전선로 건설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이 관계자는 "전자파 해소 방안을 과학적으로 제시하거나 함평에 '재생에너지100(RE100) 국가산단'을 배려한다면 협상의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때문에 에너지 업계 한 관계자는 "일부 사업자가 송전선로 건설비를 부담하는 방식인 '345㎸ 신안 해상풍력 공동 접속설비 건설사업'과 '345㎸ 신해남-신장성 송전선로 건설사업'부터 전자파 영향을 획기적으로 줄여 줄 '초고압 직류송전(HVDC)'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HVDC는 발전소에서 생산된 교류(AC) 전력을 직류(DC)로 전환해 더 멀리 더 안정적으로 송전한 후 사용 지역에서 다시 교류로 바꿔 공급하는 기술이다.

해당 송전 설비가 주목받는 이유는 사실상 전자파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서다.

지난 8월 HVDC 설비를 갖춘 경기도 평택 고덕변전소에서 이뤄진 전자파 측정값은 0.166마이크로테슬라(μT) 안팎으로 국제 안전 기준 83μT의 0.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해당 변전소에서 110m 떨어진 공원에선 더 낮은 0.0076μT로 측정됐다. 이는 가정용 청소기나 프린터기를 작동할 때 나오는 수준으로 확인됐다.

당시 민석원 순천향대 전기공학과 교수는 "DC의 경우 전기장과 자기장이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이론적으론 파동이 생기지 않는다"며 "이는 전자파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