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北,작년 10월부터 대일관계 비밀 시나리오 추진" 니혼게이자이

등록 2018.06.22 13:29: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北김정은 대일정책 시나리오:

일본과 비밀접촉 시도

→대북제재 완화조건으로 납치문제 일정부분 진전

→아베 복심 북한 초대해 김정은과 회담

→북일정상회담 실현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김혜경 기자 = 북한 지도부가 작년 10월부터 일본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정세 분석을 비밀스럽게 진행했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22일 보도했다.

 닛케이는 이날 북한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전하며, 향후 북일 관계 개선을 통한 북일정상회담 개최 및 북한의 납치문제 진전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북한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지도부 내부에서는 2017년 10월 일본 정세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다.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로 미군이 한반도 주변에 전략폭격기와 핵추진 항공모함 등 군사력을 집결시키는 등 한반도 정세가 급박하게 돌아가던 시기였다.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한반도 정세가 급박하게 돌아가자 국면 타개를 위해 미국과의 적극적인 외교전을 지시하면서 일본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이 외에도 북한 노동당은 내부 회의에서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국, 러시아, 일본, 그리고 우방국인 이란과 시리아 등에 대한 접근법도 논의했다고 한다. 

 김정은은 대일 정책에 대해 ▲일본과 비밀접촉을 시도해 아베 정권의 북한에 대한 의중을 살피고 ▲대북제재 완화를 조건으로 일본이 납치문제 조사단을 북한에 파견하도록 허용하며 ▲아베 총리의 복심을 극비리에 북한에 초대해 김정은과 면담을 하고 ▲최종적으로 북일 정상회담을 실시한다는 시나리오를 지시했다고 한다. 
 
 북한이 접촉을 시도하는 아베 총리의 복심은 국가안보국장인 야치 쇼타로(谷内正太郎) 전 외무성 차관 등이 거론됐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러한 대일 정책에 대한 시나리오는 북한이 6·12 북미정상회담을 실현한 정황과 비슷하다. 북미정상회담 직전인 지난 5월 마이크 폼페이오 당시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은 극비리에 평양을 방문해 김정은과 회담을 실시해 북미정상회담을 성사시킨 바 있다. 최근 뉴욕타임스는 북한이 지난해 여름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미국 금융가 게이브리얼 슐즈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사위인 제러드 쿠슈너 선임고문에게 '북한 정부가 당신과 대화를 하고 싶어한다'는 의사를 전달하면서 북미 정상회담의 물꼬가 트이게 됐다고 보도한 바있다.

 닛케이는 북일정상회담 실현 등 북일관계 개선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그 이유는▲북일관계 개선에 부정적이었던 미국이 북한과의 관계를 개선한 것과 ▲북한은 일본의 경제지원이 절실하다는 점 ▲그리고 아베 정부의 숙제인 납치문제에 일정부분 진전을 이룰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우선 첫번째로, 북미관계 개선은 곧 북일 관계 개선을 가로막던 장애물이 제거된 것이라고 닛케이는 분석했다.
 
 그간 북한과 일본은 몇 차례 관계개선 움직임이 있었다. 우선 김일성 주석 시절인 1990년 9월 북한과 일본은 조기 국교정상화를 실시하도록 합의했다가 실현되지 않은 적이 있다. 북한은 이것이 북일관계 개선을 원하지 않는 미국의 방해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후 김정일 총서기 시절인 2002년 북일정상회담 때에도 북일 관계가 개선될 수 있었지만, 미국이 여러 경로를 통해 일본측에 북한이 핵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는 정보를 전달해 양국 국교정상화의 움직임에 제동이 걸렸다는 분석이 있다. 

 그러나  6·12 북미정상회담으로 북미관계가 완화한 현재 북일간 접근을 막아온 ‘미국"이라는 두꺼운 벽이 제거된 것을 의미한다고 신문은 해석했다.

 두 번째, 북한은 일본으로부터의 경제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신문은 2002년 김정일 당시 북한 총서기가 일본인 납치를 시인하면서까지 일본과의 국교 정상화를 서두른 것도 '일본으로부터 경제협력'을 받기 위한 것이었으며, 현재도 마찬가지 상황이라고 신문은 분석했다.

 물론 일본이 북한과의 국교정상화에 따른 경협을 지원하기 위한 선결조건은 '납치문제의 해결'이다. 일본 내부에서는 북한이 납치문제가 해결됐다는 입장을 번복하기 힘들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북한은 2002년 북일 정상회담에서 일본인 13명을 납치했으며, 그 가운데 8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5명은 이후 일본으로 송환했다. 북한이 이 같은 기존의 주장을 뒤집지 않는 이상 납치문제에서 어떤 진전이 나올지는 불투명하다.

 그러나 닛케이는 협상상대가 김정은으로 바뀜으로써 납치문제가 오히려 급진전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일본인 납치사건이 발생한 시기는 1970~1980년대로, 김정은이 납치문제 관여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북한이 사망을 주장한 8명의 납치피해자들이 생존해 있다는 소문도 있다. 2010년 9월 니카이 히로시(中井洽) 당시 납치문제 담당상은 기자회견에서 "납치피해자 몇명이 거의 틀림없이 생존해있는 상황을 확인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북한이 입장을 번복해 이들을 일본으로 송환하면 납치문제에 진전을 이룰 수 있다. 납치문제 진전은 사학스캔들 등으로 궁지에 몰린 아베 정권으로서도 등돌린 여론을 돌릴 수 있는 호재다.

 물론 북한은 북미정상회담 3일 후인 지난 15일에도 북한의 대외용 라디오인 평양방송은 논평에서 "일본은 이미 해결된 납치문제를 계속 거론해 자신의 이익을 챙기고 있다"라며 '납치문제 해결 종료'라는 기존입장을 반복했다. 또 북한 조선중앙통신도 지난 19일 한반도 시류에 반해 일본이 대북 "압박 일변도 노선을 고집하고 있다"며 일본을 규탄했다.

 그러나 닛케이는 북한의 일본에 대한 이같은 적대적인 태도는 협상 전 위기감을 고조시켜 상대방으로부터 양보를 얻어내려는 전형적인 북한의 수법이라고 해석했다.  

 신문은 김정은이 올 1월1일 신년사에 이어 4월 당 중앙위원회총회에서도 '경제 재건'을 우선 정책으로 내걸었던 점 등을 언급하며, 경제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북한으로서는 일본과의 관계개선은 피할 수 없는 수순이라고 전망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