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중·고생도 딥페이크 피해" 소문…광주경찰 사실관계 파악(종합)

등록 2024.08.26 16:01:06수정 2024.08.26 16:10: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딥페이크 피해 학교 명단' 온라인 게시 글 나돌아

광주경찰, 학교전담경찰관 통해 피해여부 확인 중

아직 피해 없어…'SNS사진 삭제' 학생들 공포·불안

[서울=뉴시스] 26일 X(옛 트위터)를 시작으로 텔레그램 딥페이크 성범죄가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있다. (사진= 'X(옛 트위터)' 캡처 ) 2024.8.2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26일 X(옛 트위터)를 시작으로 텔레그램 딥페이크 성범죄가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있다. (사진= 'X(옛 트위터)' 캡처 ) 2024.8.26.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뉴시스] 변재훈 기자 = 최근 대학가에서 여성 얼굴 사진에 음란물을 합성하는 이른바 '딥페이크' 성범죄가 잇따른 가운데 전국 각급 학교별 피해 리스트가 온라인 커뮤니티에 나돌고 있어 광주경찰도 사실 관계 파악에 나섰다.

광주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서 '딥페이크 성범죄 피해 학교' 리스트가 확산하고 있는 데 대해 사실 관계 파악에 나섰다고 26일 밝혔다.

경찰은 우선 각 학교 당국과 학교전담경찰관(SPO)을 중심으로 딥페이크 성범죄 피해 사례가 있는지 살피고 있다.

다만 현재까지는 이렇다 할 실제 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잠정 파악됐다.

'딥페이크' 성범죄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 도용한 신상 정보나 SNS 계정에 게시된 얼굴 사진 등을 음란물에 합성한 가짜 영상물을 제작·유포하는 범죄를 가리킨다.

최근 대학가와 군 부대 안에서 '딥페이크' 성범죄가 잇따른 직후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진위를 알 수 없는 '딥페이크 피해 리스트' 글까지 나돌자, 지역에서도 공포와 불안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지난 주말 광주 광산구 일대 중·고등학교 학생들 사이에선 '광주에도 딥페이크 영상 제작자가 있고 실제 지역 학교 몇 곳에서 피해자가 발생했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상당수 학생들은 관련 의혹을 제시한 글을 검색하고, 자신의 SNS 계정을 비공개로 바꾸거나 비밀번호를 바꾸느라 밤까지 지새운 것으로 전해졌다.

언제 어떻게 피해를 입을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커지면서 일부는 SNS 계정이나 모바일 메신저에 올려놓은 자신의 사진을 내리기도 했다.

'내 SNS 계정에 다른 지역 접속 이력이 있었다' '비밀번호가 제대로 입력되지 않는다'는 등의 경험담을 또래 사이에 공유하며 해킹 피해도 주장하는 학생들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학생들 동요가 커지면서 학부모 민원이 제기된 일부 학교는 실태 파악 중이다.

광주경찰 관계자는 "아직 지역에서 피해 신고가 접수되지는 않았고 관련해 수사 중인 사안도 없다. 아직까지 범죄 혐의점은 없어 입건 전 조사(내사) 단계도 아니다. 다만 피해 여부가 있는 지를 미리 살펴보는 차원"이라고 밝혔다.

이어 "SNS에 게시한 본인 사진 1장 만으로도 딥페이크 성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 피해자에게는 이렇다 할 책임이 없는데도 범죄의 표적이 될 수 있다. 경각심을 가질 필요는 있다. 피해 발생 시 피의자 추적부터 수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경찰과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딥페이크 영상물에 대해 강력 대응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앞서 발생한 딥페이크 성범죄의 수사 경과를 살펴보면 실제 검거와 처벌이 여의치 않다.

보안이 강화된 모바일 메신저 '텔레그램'을 중심으로 딥페이크 영상물이 나돌고 있는 만큼, 가해자 특정부터 쉽지 않고 입법 부재로 함께 공유해서 본 이들에 대한 처벌 규정도 마땅치 않다.

전문가들은 "민감한 개인 정보는 SNS 공개 계정에 가급적 게시하지 않고, SNS 계정 접속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조언한다. 또 수상한 전자우편이나 스팸 메일은 열어보지 말고, 딥페이크 영상물 공유 메신저 대화방을 발견하는 즉시 신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