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이란산 석유 금수 시작돼도 유가 급등은 없을 듯

등록 2018.11.05 12:04:4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국제유가 최근 하락세…한달새 17%↓

공급 감소 예상되지만 수요 위축 우려 더 커

골드만삭스, 연말 유가 80달러 전망

【사크르=AP/뉴시스】 저유가 장기화로 인해 산유국들이 석유생산시설 투자를 줄임으로써 앞으로 2020년까지는 유가가 다시 2배로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22일(현지시간) 국제에너지기구(IEA)에서 나왔다. 사진은 지난해 9월 30일 바레인의 사크르 사막 유정에서 채굴 중인 원유펌프의 모습. 2016.02.23 

【사크르=AP/뉴시스】 저유가 장기화로 인해 산유국들이 석유생산시설 투자를 줄임으로써 앞으로 2020년까지는 유가가 다시 2배로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22일(현지시간)  국제에너지기구(IEA)에서 나왔다.  사진은 지난해 9월 30일 바레인의 사크르 사막 유정에서 채굴 중인 원유펌프의 모습. 2016.02.23


【서울=뉴시스】 안호균 기자 = 미국의 대(對) 이란 석유 금수 조치가 5일(현지시간)부터 시작되지만 당분간 공급 감소에 따른 유가 급등은 없을 것이라는게 상당수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4일(현지시간) 국제유가는 미국의 이란 제재에 대한 우려로 10월 초 4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지만 세계 경제 둔화로 인한 수요 위축에 따라 오히려 하락세로 전환할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국제유가는 지난달 중순부터 오히려 급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미국 서부텍사스유(WTI)가격은 지난 10월3일 연고점(배럴당 76.41 달러)을 찍은 뒤 17% 넘게 하락해 배럴당 63.14 달러까지 떨어졌다. 영국 브렌트유도 지난 10월 3일 배럴당 86.29 달러에서 지난 2일 배럴당 72.83 달러로 한달새 16% 가까이 떨어졌다.

당초 시장에서는 이란 제재가 시작되면 석유 공급 능력이 위축돼 유가가 급등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일각에서는 올해 유가가 배럴당 100 달러를 돌파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실제로 이란의 석유 수출은 제재를 앞두고 일평균 100만 배럴 가까이 줄었다. 에너지 정보업체 케이플러에 따르면 이란산 원유와 초경질유 운송량이 지난 6월 일평균 266만 배럴에서 10월 176만 배럴까지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미국의 금리 인상, 미중 무역 전쟁 등의 리스크 요인들이 세계 경제 전망을 점점 어둡게 만들고 있다는 점이 오히려 유가를 끌어내리고 있다. 세계 경기 둔화로 인한 수요 위축이 이란 제재에 따른 공급 감소의 효과를 뛰어넘을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달 국제통화기금(IMF)은 2018년과 2019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9%에서 3.7%로 내렸다. 올해 초 예상하던 것보다 세계 경제 상황이 좋지 않다는 뜻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이같은 우려를 반영해 세계 석유 수요 전망치를 하향조정했다.

또 사우디아라비아, 미국 등 다른 산유국이 공급 감소분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과, 중국·인도·러시아 등 이란의 주요 고객들이 제재 이후에도 거래를 계속해 수출량이 '0'으로 떨어지기 힘들다는 인식도 유가를 누르고 있다.

향후 유가 경로에 대한 전문가들의 견해는 다양하지만 이번 제재로 급등하지는 않을 것이라는게 중론이다.

골드만삭스는 글로벌 석유 수요가 올해 일평균 155만 배럴에서 내년에는 일평균 145만 배럴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브렌트유 가격은 올해 말 배럴당 80달러 선까지 오르겠지만 2년 안에 60 달러 선까지 떨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미국이 공언한대로 제재가 강력한 효력을 발휘할 경우 유가가 다시 강세로 갈 수 있다는 시각도 여전히 존재한다.

현재 시장에서는 상반기 일평균 250만 배럴 수준이었던 이란의 원유 수출이 연말까지 하루 115만 배럴로 떨어지고 내년 상반기에는 100만 배럴로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컨설팅업체 리스타드 에너지는 내년 상반기 이란의 수출이 일평균 80만 배럴까지 줄어들고, 수입국 중 중국만 남는다면 60만 배럴까지 줄어들 수 있다고 예상했다.

또 최대 일평균 150만 배럴까지 이란의 공급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됐던 사우디의 생산 능력이 과대평가돼 있다는 의견도 있다.

시장 분석 매체 반얀힐 퍼블리싱의 맷 바디알리 선임 애널리스트는 "사우디는 이미 최대치를 생산하고 있다. 이미 한계에 다다랐다"며 "미국의 셰일붐도 성장통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