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푸틴 방북'에 말 아끼는 中…'불편한 속내' 담겼나

등록 2024.06.18 19:59:53수정 2024.06.18 22:00:5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중국 외교부 "북·러 간 양자 왕래"…짧게 답변

북·러 밀착에 복잡한 입장 반영된 듯

[보스토니치 우주기지(러시아)=AP/뉴시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8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과 관련해 "러시아와 조선(북한) 간의 양자 왕래"라며 말을 아꼈다. 사진은 지난해 9월 13일 러시아 동부 블라고베셴스크에서 약 200㎞ 떨어진 치올코프스키시 외곽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만나 악수하는 푸틴 대통령(오른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2024.6.18

[보스토니치 우주기지(러시아)=AP/뉴시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8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과 관련해 "러시아와 조선(북한) 간의 양자 왕래"라며 말을 아꼈다. 사진은 지난해 9월 13일 러시아 동부 블라고베셴스크에서 약 200㎞ 떨어진 치올코프스키시 외곽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만나 악수하는 푸틴 대통령(오른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2024.6.18

[베이징=뉴시스]박정규 특파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4년 만의 방북을 앞둔 가운데 중국 정부는 이에 대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그동안 정부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대변해온 중국 매체들 역시 이번 방북에 대한 보도를 삼가는 모습도 눈에 띄면서 중국의 불편한 속내가 드러나는 듯한 분위기도 감지된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8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푸틴 대통령의 방북과 관련, 양국 간 관계 강화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우리는 이전에 관련 문제에 답한 적이 있다"며 "이것은 러시아와 조선(북한) 간의 양자 왕래"라고만 답했다.

중국은 이번 방북에 대해 이전에도 원론적인 입장만을 밝히면서 상당히 신중한 모습을 내비친 바 있다.

린 대변인은 지난 13일 브리핑에서 "관련 보도에 주목한다"면서도 "러시아와 조선(북한) 간의 쌍방 교류와 관련된 문제인 만큼 이에 대해 논평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원칙적으로 중국은 러시아가 관련 국가와 전통적 우호관계를 공고히 하고 발전시켜나가는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의 입장과 시각을 함께 해온 중국 매체들도 대부분 이번 방북과 관련해 아직까지 대대적인 보도에 나서지 않는 등 잠잠한 분위기다. 중국 포털사이트 바이두 등을 검색해도 현지 매체들이 이번 방북을 조명하는 외신을 인용하는 정도에 그칠 뿐 별도의 보도는 삼가는 모습이다.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의 경우 "러시아와 조선의 군사관계 강화로 한국의 경계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다소 부정적인 논조를 드러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차이신은 해당 기사에서 "한국 측은 푸틴의 조선 방문을 계기로 '유사시 자동 군사개입' 수준의 긴밀한 군사협력관계를 수립하는 데 대해 우려한다"고 보도했다.

이처럼 중국이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것은 이번 방북이 그만큼 불편하다는 점을 드러내는 방증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서방세계의 제재 등으로 인해 중국 입장에서는 북·중·러 3각 구도의 대립 양상이 부각되는 것이 부담스러운 상황인데다 북·러 간 밀착으로 북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변화할 수 있는 개연성 등으로 인해 복잡할 입장일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문일현 중국 정법대 교수는 "푸틴의 방북과 관련해 중국의 입장은 불편할 수밖에 없다"며 "이번 방북에 대한 중국의 입장 표명과 관영매체의 보도 등을 주의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