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퇴행성관절염, 근본적 치료 가능해졌다 '연골재생'

등록 2012.03.02 13:45:08수정 2016.12.28 00:18:1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박재우 원장 = 근래에 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골재생으로 퇴행성 관절염을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허가를 받은 스마트 골수줄기세포 치료술, 한국식약청에서 임상을 바탕으로 허가해 준 메디포스트의 카티스템 제대혈 줄기세포 퇴행성관절염 세포치료제, 스템스 재생의학 클리닉의 자가지방줄기세포 등으로 연골을 재생해 무릎 퇴행성관절염을 치료하는 것이다.  스템스 재생의학 클리닉에서 2009년부터 올해 1월까지 실제로 자가지방 재생줄기세포와 PRP(혈소판풍부혈장)로 연골재생을 한 환자 24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전체의 94%인 233여명이 무릎통증의 완화를 보였다. 무릎통증 완화의 정도는 60~80%가 다수를 이뤘고 100% 무릎통증이 완전히 없어진 환자는 없었다. 퇴행성관절염은 관절 전체의 질환이기 때문에 연골재생 만으로 100% 통증이 없어지는 것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   연골재생 환자 중 퇴행성관절염 환자가 약 70%을 차지했는데 이들의 나이는 주로 50세 이상이었고 남성보다는 여성이 더욱 많았다. 이들 중 3개월 연골재생 치료 후 MRI의 결과는 반월상연골판 연골의 경우 평균 약 2㎜정도 연골이 재생이 되었고 최고의 연골재생 효과는 약 4㎜였다. 퇴행성관절염이 심할수록 연골재생 효과는 떨어졌지만 나이하고는 큰 관계가 없었다. 이들 중 60세 이상의 환자들, 또 연골이 많이 재생된 환자들은 단기적으로 인대염 또는 건초염에 의한 무릎통증을 겪었다. 하지만 자가지방줄기세포나 PRP에 의한 직접적인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퇴행성 무릎관절염은 오랜 세월 (수십년) 조금씩 연골이 닳으면서 뼈의 변형과 더불어 무릎의 자세가 바뀐다. 하지만 재생줄기세포와 PRP로 연골을 급격하게 재생하면서 무릎의 자세가 3~4개월 만에 제 자리 쪽으로 돌아오게 되면 무릎을 감싸고 있는 인대와 건들도 자세가 급격히 바뀌어야 하는데 이것이 잘 되지 않을 때 인대염 또는 건초염에 의한 무릎통증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인대염과 건초염에 의한 무릎통증은 소염제와 물리치료로 간단히 완치가 가능하다.  연골재생은 퇴행성관절염 말기보다는 초기 또는 중기에 연골이 많이 없어지기 전 자가지방줄기세포, 제대혈줄기세포, 골수줄기세포로 연골재생을 하면 퇴행성관절염의 악화를 예방하므로 후에 인공관절수술을 피할 수 있다.  세계최초로 자가지방 재생줄기세포, PRP 시술로 퇴행성관절염 환자에게서 반월상연골판 연골을 재생해 영국 학술지(http://www.jmedicalcasereports.com/content/5/1/296)에 발표했고, 또 대퇴골두 무혈성괴사증 환자에게서 뼈를 재생해 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SCI)급 미국 학술지 2012년 2월호(http://www.painphysicianjournal.com/2012/january/2012;15;75-85.pdf)에 게재했다.  스템스 재생의학 클리닉·의학박사

【서울=뉴시스】박재우 원장 = 근래에 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골재생으로 퇴행성 관절염을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허가를 받은 스마트 골수줄기세포 치료술, 한국식약청에서 임상을 바탕으로 허가해 준 메디포스트의 카티스템 제대혈 줄기세포 퇴행성관절염 세포치료제, 스템스 재생의학 클리닉의 자가지방줄기세포 등으로 연골을 재생해 무릎 퇴행성관절염을 치료하는 것이다.

 스템스 재생의학 클리닉에서 2009년부터 올해 1월까지 실제로 자가지방 재생줄기세포와 PRP(혈소판풍부혈장)로 연골재생을 한 환자 24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전체의 94%인 233여명이 무릎통증의 완화를 보였다. 무릎통증 완화의 정도는 60~80%가 다수를 이뤘고 100% 무릎통증이 완전히 없어진 환자는 없었다. 퇴행성관절염은 관절 전체의 질환이기 때문에 연골재생 만으로 100% 통증이 없어지는 것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 

【서울=뉴시스】박재우 원장 = 근래에 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골재생으로 퇴행성 관절염을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허가를 받은 스마트 골수줄기세포 치료술, 한국식약청에서 임상을 바탕으로 허가해 준 메디포스트의 카티스템 제대혈 줄기세포 퇴행성관절염 세포치료제, 스템스 재생의학 클리닉의 자가지방줄기세포 등으로 연골을 재생해 무릎 퇴행성관절염을 치료하는 것이다.  스템스 재생의학 클리닉에서 2009년부터 올해 1월까지 실제로 자가지방 재생줄기세포와 PRP(혈소판풍부혈장)로 연골재생을 한 환자 24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전체의 94%인 233여명이 무릎통증의 완화를 보였다. 무릎통증 완화의 정도는 60~80%가 다수를 이뤘고 100% 무릎통증이 완전히 없어진 환자는 없었다. 퇴행성관절염은 관절 전체의 질환이기 때문에 연골재생 만으로 100% 통증이 없어지는 것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   연골재생 환자 중 퇴행성관절염 환자가 약 70%을 차지했는데 이들의 나이는 주로 50세 이상이었고 남성보다는 여성이 더욱 많았다. 이들 중 3개월 연골재생 치료 후 MRI의 결과는 반월상연골판 연골의 경우 평균 약 2㎜정도 연골이 재생이 되었고 최고의 연골재생 효과는 약 4㎜였다. 퇴행성관절염이 심할수록 연골재생 효과는 떨어졌지만 나이하고는 큰 관계가 없었다. 이들 중 60세 이상의 환자들, 또 연골이 많이 재생된 환자들은 단기적으로 인대염 또는 건초염에 의한 무릎통증을 겪었다. 하지만 자가지방줄기세포나 PRP에 의한 직접적인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퇴행성 무릎관절염은 오랜 세월 (수십년) 조금씩 연골이 닳으면서 뼈의 변형과 더불어 무릎의 자세가 바뀐다. 하지만 재생줄기세포와 PRP로 연골을 급격하게 재생하면서 무릎의 자세가 3~4개월 만에 제 자리 쪽으로 돌아오게 되면 무릎을 감싸고 있는 인대와 건들도 자세가 급격히 바뀌어야 하는데 이것이 잘 되지 않을 때 인대염 또는 건초염에 의한 무릎통증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인대염과 건초염에 의한 무릎통증은 소염제와 물리치료로 간단히 완치가 가능하다.  연골재생은 퇴행성관절염 말기보다는 초기 또는 중기에 연골이 많이 없어지기 전 자가지방줄기세포, 제대혈줄기세포, 골수줄기세포로 연골재생을 하면 퇴행성관절염의 악화를 예방하므로 후에 인공관절수술을 피할 수 있다.  세계최초로 자가지방 재생줄기세포, PRP 시술로 퇴행성관절염 환자에게서 반월상연골판 연골을 재생해 영국 학술지(http://www.jmedicalcasereports.com/content/5/1/296)에 발표했고, 또 대퇴골두 무혈성괴사증 환자에게서 뼈를 재생해 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SCI)급 미국 학술지 2012년 2월호(http://www.painphysicianjournal.com/2012/january/2012;15;75-85.pdf)에 게재했다.  스템스 재생의학 클리닉·의학박사

 연골재생 환자 중 퇴행성관절염 환자가 약 70%을 차지했는데 이들의 나이는 주로 50세 이상이었고 남성보다는 여성이 더욱 많았다. 이들 중 3개월 연골재생 치료 후 MRI의 결과는 반월상연골판 연골의 경우 평균 약 2㎜정도 연골이 재생이 되었고 최고의 연골재생 효과는 약 4㎜였다. 퇴행성관절염이 심할수록 연골재생 효과는 떨어졌지만 나이하고는 큰 관계가 없었다. 이들 중 60세 이상의 환자들, 또 연골이 많이 재생된 환자들은 단기적으로 인대염 또는 건초염에 의한 무릎통증을 겪었다. 하지만 자가지방줄기세포나 PRP에 의한 직접적인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퇴행성 무릎관절염은 오랜 세월 (수십년) 조금씩 연골이 닳으면서 뼈의 변형과 더불어 무릎의 자세가 바뀐다. 하지만 재생줄기세포와 PRP로 연골을 급격하게 재생하면서 무릎의 자세가 3~4개월 만에 제 자리 쪽으로 돌아오게 되면 무릎을 감싸고 있는 인대와 건들도 자세가 급격히 바뀌어야 하는데 이것이 잘 되지 않을 때 인대염 또는 건초염에 의한 무릎통증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인대염과 건초염에 의한 무릎통증은 소염제와 물리치료로 간단히 완치가 가능하다.  

【서울=뉴시스】박재우 원장 = 자가골수 줄기세포 치료술이 보건복지부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의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최종심의를 통과한 후 보건복지부를 통해 고시(제2012-1호)되면서 줄기세포(재생세포)를 이용한 연골재생치료가 본격적으로 활성화될 전망이다.  특히 연골 결손이 크지 않은 초·중기 퇴행성관절염, 반월상연골파열 또는 슬개골 연골연화증에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골재생치료는 향후 연골손상 치료의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잡을 것이라는 의견도 많다.  필자는 자가지방 유래 줄기세포(치유재생세포)와 PRP(혈소판 풍부혈장)로 퇴행성 관절염환자의 반월상연골판 연골을 재생한 결과와 대퇴골두 무혈성괴사증 환자의 뼈재생 결과를 영국 학술지(The Journal of Medical Case Reports http://www.jmedicalcasereports.com/content/5/1/296)에 발표했다.  아직까지는 반월상연골파열, 슬개골연골연화증 또는 퇴행성관절염 치료로 관절내시경 또는 인공관절수술을 많이 하지만 이번 줄기세포 연골재생 치료의 인증으로 중장년층의 무릎 연골질환을 조기에 수술 없이 치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릎 연골은 나이가 들면서 닳기 때문에 퇴행성관절염은 피할 수가 없다. 또한 무리한 운동으로 반월상연골파열 또는 슬개골연골연화증이 생기면 관절내시경 수술로 손상된 연골을 절제하므로 퇴행성관절염을 조기 초래시킬 수도 있다. 손상된 연골은 스스로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퇴행성관절염 또는 연골손상은 나이가 들수록 점점 더 심해진다.  이러한 이유로 퇴행성관절염을 포함한 연골결손 치료를 위한 재생의학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초·중기 퇴행성 무릎관절염, 슬개골연골연화증, 반월상연골파열의 최신 치료의 관심은 줄기세포다. 환자 본인의 세포를 사용해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신의 골수 또는 지방에서 채취한 치유줄기세포를 손상된 관절에 주입해 연골을 재생시키는 치료법이다.  지방이나 골수에 있는 치유줄기세포는 손상된 조직을 복원시키는 능력이 있다. 치유줄기세포는 직접 환자의 골수나 지방에서 얻을 수 있어 의학적으로도 안전할 뿐 아니라 면역거부반응도 없다. 치유줄기세포는 연골조직에선 연골모세포로, 피부와 결합조직에서는 섬유아세포로, 뼈일 경우는 조골세포로 분화돼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이유로 치유줄기세포는 최근 유럽이나 미국에서 연골, 뼈 조직 재생에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자가골수 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골 재생술은 분화 전 단계의 치유줄기세포를 퇴행성관절염, 반월상연골파열, 슬개골연골연화증을 포함한 연골결손 부위에 주사하는 시술이다. 보건의료연구원에 의하면 연골재생 및 무릎통증 완화에 도움이 되는 것을 여러 연구 결과로 입증했다고 한다. 자가골수 치유줄기세포의 연골재생 성공률은 70~80% 수준으로 평가됐고 또 안전·유효성 평가결과에서 안전성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인정된 것이다.  자가골수 줄기세포는 먼저 환자의 엉덩이 뼈에서 골수를 채취하고, 자가지방 줄기세포는 주로 환자의 복부에서 지방을 채취한 다음 원심분리기로 줄기세포, 성장인자, 단핵세포를 분리해 수집한 후 이를 환자의 연골결손 부위에 주입해주는 치료다. 줄기세포 연골재생 치료술의 적응대상은 외상이나 노화로 인해 연골이 손상된 15세 이상의 연령층이다. 또한 연골손상의 크기가 최대 10㎠를 넘지 않을 때 연골재생 효과가 더욱 좋다.  스템스 관절재생클리닉·의학박사 jaewoopak88@gmail.com

 연골재생은 퇴행성관절염 말기보다는 초기 또는 중기에 연골이 많이 없어지기 전 자가지방줄기세포, 제대혈줄기세포, 골수줄기세포로 연골재생을 하면 퇴행성관절염의 악화를 예방하므로 후에 인공관절수술을 피할 수 있다.

 세계최초로 자가지방 재생줄기세포, PRP 시술로 퇴행성관절염 환자에게서 반월상연골판 연골을 재생해 영국 학술지(http://www.jmedicalcasereports.com/content/5/1/296)에 발표했고, 또 대퇴골두 무혈성괴사증 환자에게서 뼈를 재생해 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SCI)급 미국 학술지 2012년 2월호(http://www.painphysicianjournal.com/2012/january/2012;15;75-85.pdf)에 게재했다.

 스템스 재생의학 클리닉·의학박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