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李 총리 '라돈 침대' 발표 번복에 "국민께 송구…단계별 대처"

등록 2018.05.21 10:21:1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최진석 기자 = 이낙연(왼쪽 다섯번째) 국무총리가 21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18.05.21. myjs@newsis.com

【서울=뉴시스】최진석 기자 = 이낙연(왼쪽 다섯번째) 국무총리가 21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18.05.2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김지훈 기자 = 이낙연 국무총리는 21일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이 침대에서 검출된 사건에 대해 적극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확인했다. 

  이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에서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가 특정 침대에서 검출된 라돈이 허용기준치 이내라고 발표(10일)했다가 닷새 만에 뒤집었다. 정부가 국민 불안을 가중시켜 국민들께 송구스럽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리는 "(원안위가) 원자력발전소 안전 같은 거대 가치에 치중하다가 국민 생활 속의 원자력안전에는 서툴렀다"며 "또한 문제가 발생하면 대처 방향을 정확히 잡아야 하는데 그런 위기관리능력이 부족했다"고 진단했다.

  이 총리는 그러면서 "지난주 후반부터 국무조정실이 원자력안전위원회,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부처와 함께 범정부적 대응에 나섰다"며 "응급조치부터 시간이 다소 걸리는 문제, 시간이 조금 더 걸리는 문제에 이르기까지 단계별로 세밀하게 대처하라"고 지시했다.

  이 총리는 아울러 "부처가 단독으로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면 즉각 총리실에 알려 함께 판단하고, 유관부처 공동대응 체제를 갖추도록 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이 총리는 "2년 연속 3% 성장과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달성을 가시권에 놓고 있으나, 대내외 불확실 요인이 나타나면서 경제의 중장기 향방을 우려하는 시각도 적지 않다"며 "미국의 이란 핵합의 탈퇴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과 추가적 금리 인상 가능성, 아르헨티나 등의 금융위기 조짐 등이 그것"이라고 우려했다. 또한 "국내에서는 (기업) 구조조정 지역의 경제위축과 청년실업난 가중이 우리 경제를 압박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총리는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이 전반적인 물가상승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관리가 필요하다"며 "청년실업과 구조조정지역 대응정책은 당사자와 현장의 눈높이에 맞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