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백년과 여성]③"안경신, 항일 무장투쟁에 뚜렷한 족적…건국훈장"
정부 독립유공자 포상 초기인 1962년 인정
당시 여성은 5명 불과…남자현, 유관순 등
포상 인정 경위 파악 어려워…정부 행정 탓
【서울=뉴시스】임신한 몸으로 평양 폭탄 거사에 가담한 안경신 선생. 2019.2.21(사진=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 홈페이지) [email protected]
당시 정부의 서훈 시스템은 제대로 정립이 안 된 상태였기 때문에 명확한 포상 경위는 파악하기 어렵다. 다만 그 시기 정부가 큰 단체를 중심으로 독립유공자를 발굴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대한광복군의 상위기관인 상해 임시정부 관련 인물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그의 서훈도 인정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1960년대는 아직 독립유공자들이 살아있을 시기이기 때문에, 큰 단체 소속이었던 그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았을 가능성도 있다.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에 따르면 정부는 독립유공자 포상을 시작한 첫 해인 1962년, 안경신 선생에게 건국훈장 국민장(독립장)을 추서했다. 당시 서훈을 받은 여성 독립운동가는 5명에 불과했다. 대통령장을 받은 남자현과 독립장을 받은 안경신, 유관순, 김마리아, 이애라 등이다.
1960년대는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지 얼마 되지 않은데다가, 정부에 남아있는 친일 세력 등의 영향으로 독립유공자 서훈 시스템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때다. 따라서 당시 안 선생이 어떤 과정을 거쳐 이른 시기에 서훈을 인정받았는지 현재로선 파악하기 쉽지 않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1962년에는 독립유공자 포상을 문교부 국사편찬위원회에서 맡았고, 1963년에는 정부 인사행정을 총괄하는 행정기관인 내각 사무처가 담당했다. 1968년에는 현 행정안전부의 전신인 총무처가 독립유공자 포상을 전담했다.
국가보훈처가 독립유공자 포상을 시작한 건 1977년부터다. 국가보훈처의 독립유공자 발굴 작업은 1995년 광복 50주년이 돼서야 시작됐다. 사료에 기반한 본격적인 유공자 발굴은 국가보훈처 내에 전문 사료 발굴 분석단이 생긴 2005년부터다. 1995년 이전에는 독립유공자 발굴 및 포상 시스템이 주먹구구식으로 진행됐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추측해볼 수 있는 부분은, 안 선생의 경우 상해 임시정부 소속의 대한광복군 총영이라는 큰 조직에서 활동했기 때문에 이른 시기에 서훈을 인정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독립유공자 포상 및 발굴에 소홀했던 당시 정부는 큰 단체 중심으로만 포상을 진행했는데, 이 과정에서 부가적으로 인정받았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심옥주 한국여성독립운동연구소 소장은 "60년대 초기에는 그 대상이 지도자급, 큰 규모 단체 위주였다"면서 "그런 분들 위주로 기준이 잡혀 있다 보니, 서훈 받는 여성들 같은 경우 어느 단체 리스트에 같이 있던 분들 등 부속적으로 딸려오는 사람들이었다"고 설명했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일부 독립유공자들이 생존해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그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았을 가능성도 있다. 안 선생은 평양 폭탄 거사로 체포된 뒤 동아일보를 통해 사형 선고, 심경 인터뷰 등의 기사가 나가는 등 당시 대중에게 상당히 알려진 인물이기도 하다.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국가보훈처에서 독립유공자 포상을 담당하기 이전 상황들의 경우, 아마도 그 당시엔 독립운동 생존 지사들도 계셨으니 안 선생을 잘 아는 주변 분들이 유공자 신청을 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