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유행 6주 지났지만…당국 "정점 아직, 가장 긴 유행 될 듯"
3차 유행 정점 소요일 43일…4차 유행, 45일째
1895명 초과 없지만…"증가-감소세 왔다 갔다"
"델타 변이에도 치료제·백신 무력화 수준 아냐"
[서울=뉴시스] 백동현 기자 =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704명(국내발생 1,640명, 해외유입 64명)으로 집계된 6일 오후 서울 중구보건소에 시민들이 소독시간 이후 진료 재개를 기다리고 있다.2021.08.06.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 임재희 기자 = 방역 당국이 국내 코로나19 4차 유행이 정점을 찍고 내려오려면 3차 유행 때 6주보다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루 최다 규모인 1800명대 후반 그 이상 환자 발생도 가능할뿐더러 장기간 유행이 계속될 거란 얘기다.
그러나 전파 속도가 빠른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중심인 이번 유행도 거리 두기와 환자 관리, 백신 등 3개 전략으로 반전시킬 수 있다며 방역 수칙 준수와 예방접종 참여를 부탁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부본부장(국립보건연구원장)은 6일 오후 정례 브리핑에서 "4차 대유행이 이제까지 겪은 유행보다 규모도 가장 크지만 정점에 올라가는 시기도 가장 오래 걸릴 것"이라며 "일선의 방역요원들조차 현재 방역을 하면서 좀 더 시간이 오래 걸릴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방역 당국은 하루 최대 확진자 수가 집계된 날을 정점으로 유행 상황을 평가한다.
유행별로 정점까지 걸린 기간은 1차 유행 11일(지난해 2월18일 이후 2월29일 909명), 2차 유행 15일(8월12일 이후 8월27일 441명), 3차 유행 43일(11월13일 이후 12월25일 1240명) 등이다.
방대본은 300~500명대 정체였던 하루 확진자 수가 600명대로 급증한 6월23일을 올해 4차 유행 시작 시점으로 보고 있다. 4차 유행 시작 35일 만인 7월28일 1895명으로 역대 최다 규모 확진자가 발생한 데 이어 이날 44일이 지나면서 3차 유행 정점 소요일은 넘긴 상황이다.
아직 정점을 가늠할 수 없는 건 뚜렷한 감소세가 보이지 않고 있어서다.
권준욱 부본부장은 "4차 유행은 6월20일께부터 환자 발생이 증가하기 시작한 상황"이라며 "현재 기초재생산지수가 수도권의 겨우 약간씩 오르락내리락, 비수도권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증가세였다가 약간 감소하는 것을 왔다 갔다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일주일간 하루 평균 수도권 확진자 수는 일요일부토 토요일까지를 기준으로 7월11일부터 31일까지 989.3명→966.3명→959.7명으로 정체 양상을 보였다. 이번 주 평일 검사량이 반영된 이후 1000명을 넘긴 했지만 8월1일부터 6일간 하루 평균 환자 수는 911.3명이다.
반면 비수도권 확진자 수는 5일 4차 유행 들어 최다 규모인 692명이 발생하는 등 증가 추세다. 경남권과 충청권에 이어 대구를 중심으로 한 경북권에서도 환자 발생이 늘고 있다.
전파력이 알파형보다 1.6배 높은 것으로 알려진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우점화한 상황에서 전파 속도는 쉽게 잡히지 않고 있다.
예방접종으로 고위험군 치명률은 꾸준히 줄고 있지만 확진자 수가 늘면 그에 따라 위·중증 환자 규모도 늘 수밖에 없다. 에크모(ECMO) 등 중증환자 치료 여력에도 한계가 있다.
결국 현재 환자 규모를 줄이려면 예방접종과 함께 거리 두기 등 방역 조처가 필요하다는 게 방역 당국 판단이다.
권준욱 부본부장은 "이미 주도하는 유행형은 델타 변이지만 치료제와 백신이 현저히 무효하거나 진단체계가 무력화되는 상황은 분명히 아니다"라며 "거리 두기, 환자 관리, 백신 접종이라는 세가지 전략으로 방역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국민 여러분의 인내와 참여, 의료진의 헌신과 전문성, 일선 보건요원의 추적과 관리 노력으로 급속한 증가가 없는 가운데 반전을 간절히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권 부본부장은 "우리나라는 고전하고 있는 게 맞다"면서도 "백신접종률이 높은 나라들까지도 모두 다 악전고투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할 수 있는 최선은 말씀드린 세가지 틀을 계속 유지하고 강화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해외 사례를 들어 권 부본부장은 ▲거리 두기 이완은 천천히 ▲일상 감염병 아닌 신종 감염병 체계 내 유행 통제 ▲백신 자주권 확보를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