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빅테크 규제에 카카오·네이버 또 5조 증발…개미 비명(종합)

등록 2021.09.09 15:51:24수정 2021.09.09 16:01:1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문어발 확장 비판에 시총 5조 증발

"골목상권 침해" vs "과도한 규제"

주가하락 우려…"카카오보다 갓이버"

"지금이 저점 매수" vs "우상향할 것"

빅테크 규제에 카카오·네이버 또 5조 증발…개미 비명(종합)


 [서울=뉴시스] 이승주 기자 = 여당에서 빅테크(대형기술기업)의 문어발 확장을 비판한 뒤 카카오와 네이버 주가가 연이어 급락세다. 개인투자자 사이에 이는 신호탄에 불과하다는 우려가 나오는 한편, 현재 주가는 저점일 뿐 다시 반등할 것이란 기대감도 공존한다.

카카오(035720)는 9일 7.22% 하락한 12만8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13만4000원에 출발한 카카오는 전날에 이어 한차례 또 하락했다. NAVER(035420)도  40만5000원에 출발했지만 2.56% 떨어진 39만9000원에 마감했다.

카카오의 시총은 61조5919억원에서 57조1449억원으로, 네이버는 67조2659억원에서 65조5411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전날 13조원 가까이 증발한 데 이어 또 5조원 넘게 줄었다. 카카오는 코스피 시총 5위로 삼성바이오로직스 밑으로 밀려난 상태다.

앞서 여당에서 공룡플랫폼 기업으로 카카오를 지목한 데 이어 금융당국이 플랫폼업체가 금융상품을 소개하는 영업행위에 대해 상당 부분 금융소비자법(금소법)상 미등록 중개행위로 판단하면서 업계에서 혼란이 가중됐다.

그동안 핀테크 육성 차원에서 네이버와 카카오 등 빅테크의 금융업 진출에 비교적 관대한 모습을 보였던 당국이 노선을 바꿔 규제를 강화하는 것 아닌지 투자업계에서 긴장하면서 주가가 급락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대한 개인투자자 반응은 엇갈린다. 카카오와 네이버가 골목상권을 과도하게 침해했다는 지적이다.

온라인 종목게시판에는 "카카오가 손 안대는 사업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 "삼성이 이런 식으로 사업했으면 벌써 여기저기에서 들고 일어났을 것" "솔직히 나도 주주이지만 주가 하락 이해된다", "미국도 빅테크는 강력 규제 대상", "욕심이 과하면 체하는 법" 등 비판이 이어졌다.
[서울=뉴시스] 전신 기자 =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김기현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듣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21.09.09.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전신 기자 =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김기현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듣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21.09.09. [email protected]



반면 규제가 과도하다는 반박도 이어졌다. 한 투자자는 "대선 가까워지니 갑자기 이러는 것 아니냐", "여기가 중국도 아니고", "이러면 혁신이 어떻게 나오겠나", "중국의 알리바바 주가를 따라 가자는 것인가" 등의 목소리도 높다.

동시에 주가 하락에 대한 허탈한 반응도 계속됐다. 투자자 게시판에는 "이제 끝났다, 다 털렸다"며 떨어진 주가를 보며 탄식하는 주주들의 반응이 계속됐다. 반면 네이버 게시판에는 "그래도 카카오에 비하면 네이버는 양반", "카카오 보다는 갓(GOD)이버" 등의 반응도 공존한다.

계속된 하락세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 지 투자전략을 두고 토론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 상황이 단기 리스크라는 점에서 곧 우상향할 것이란 기대감과 향후 돌이킬 수 없는 강력한 규제로 이어져 더 큰 하락세가 계속될 것이란 우려가 공존한다. 이에 따라 지금이 저점 매도 타이밍일 것으로 보고 추가 매수하고 있다는 측과 우직하게 오를 때까지 기다리겠다는 측까지 다양한 의견들이 오가고 있다.

앞서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당대표는 지난 7일 국회 본관에서 열린 '118개 계열사를 거느린 공룡 카카오의 문어발 확장 : 플랫폼 대기업의 불공정거래 근절 및 골목상권 생태계 보호 대책 토론회' 축사에서 "이제 카카오는 국내 플랫폼 기업 중 가장 많은 계열사를 보유한 공룡플랫폼기업으로 자리잡았다"고 언급했다.

송 대표는 "혁신 기업을 자부하는 카카오가 공정과 상생을 무시하고 이윤만을 추구했던 과거 대기업들의 모습을 그대로 따라가서는 안 된다"며 "최근 소수 플랫폼 기업이 국내 온·오프라인 시장을 모두 독점하는 승자 독식 현상이 문제가 되고 있다"며 "그 중심에 카카오톡으로 익숙한 카카오톡그룹이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