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우크라 전쟁에 중립국도 가세…'신냉전' 구도 속 3차 대전 우려 심화

등록 2022.03.02 17:35:3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세계대전 데자뷔…스웨덴·핀란드·스위스도 가세

'핵' 입에 올린 푸틴…美·나토-中은 '확전'될까 노심초사

'러 친분' 터키 등, 우크라 지지…인도 등은 소극적 행보

[서울=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서울=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서울=뉴시스] 신정원 기자 = 지난달 24일 러시아의 침공으로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 규모 전쟁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중립국 지위를 지켜오던 국가들까지 가세하며 러시아를 압박하고 있다. 반면 반대편에선 '침공' 사실을 인정하는 것을 주저하거나 대러 제재를 거부하면서 러시아를 직·간접적으로 편 들고 있다.

유엔은 침공 엿새째인 1일(현지시간) 벌써 어린이 13명을 포함해 민간인 352명이 숨진 것으로 파악했다. 부상자는 1684명을 넘어섰다. 제대로 집계되지 않은 실제 희생자와 양측 병력 손실까지 합하면 실제 인명 피해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에서 이웃 국가로 몸을 피한 피란민도 67만7000명을 웃돈다. 유엔은 400만 명 이상, 2차 세계대전 이래 이번 세기 유럽의 최대 난민 위기가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신냉전' 구도 속 자칫하면 '3차 대전'…美·나토-中 등 '확전' 경계

우크라 전쟁이 위험해 보이는 것은 '신냉전' 구도 때문이다.

극단주의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와 같은 테러 단체를 겨냥한 전쟁이 아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군사력을 보유한 '강대국' 러시아를 상대하는 것이다.

또 다른 세계 최대 군사대국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서방국가들과 러시아가 군사적으로 충돌할 경우 순식간에 '3차 세계대전'으로 비화할 수 있다.

세계 모든 국가들이 이 사실을 안다.

러시아가 우크라 수도 크이우(키예프)를 향해 진군하면서 주요 도시들을 하나씩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서방국들이 우크라 영토에 직접 뛰어들지 않는 것도 그 이유에서다.

실제 조 바이든 대통령과 EU 주요 정상들은 러시아가 우크라를 3면에서 에워싸고 군사적 긴장을 높이던 때 '전례 없는 대가'를 경고했지만, 직접적인 군사 대응 카드는 꺼내들지 않고 있다. 대신 고강도 경제 제재를 통해 러시아를 압박하고 있다. 우크라에 대해선 군수 물자 구매 비용과 무기 지원, 난민 수용과 인도주의적 지원을 통해 연대를 보여주고 있다.

미국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 대통령이 러시아에 대한 비행금지구역 선포를 촉구했을 때에도 자칫 '확전'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요청을 거부했다. 당시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그것은 미군이 러시아 항공기를 격추해야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것은 분명히 확전(이 될 수 있고), 잠재적으로 (미국이) 러시아와 전쟁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며 "바이든 대통령도 원하지 않는 일"이라고 못박았다.

바이든 대통령은 1일 첫 국정연설에서도 우크라에 미군을 보내는 일은 없을 것이라면서 직접적인 파병 계획이 없음을 재확인했다.
[브뤼셀(벨기에)=AP/뉴시스] 우르줄라 폰 데어라이엔 EU집행위원장이 1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 유럽의회에서 열린 회의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화상 연설에 기립박수를 보내고 있다. 2022.03.02.

[브뤼셀(벨기에)=AP/뉴시스] 우르줄라 폰 데어라이엔 EU집행위원장이 1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 유럽의회에서 열린 회의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화상 연설에 기립박수를 보내고 있다. 2022.03.02.


유럽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국들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러시아 및 우크라 인근 나토 동맹국에 군사력을 증가 배치하면서도 우크라 영토엔 군대를 보내지 않고 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1일 에스토니아에 주둔 중인 영국 군을 방문한 자리에서 "영국군의 증강 배치는 방위적 차원"이라며 우크라 땅에 군대를 보내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다.

러시아 편에 선 중국 역시 중국 군을 지원할 계획이 없음을 분명히했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달 24일 정례 브리핑에서 "러시아는 큰 힘이 있는 국가"라며 "중국이나 다른 국가가 (무기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전쟁의 책임을 미국과 서방국에 돌리며 "침공이라고 표현하는데 동의할 수 없다"면서 대러 제재에 반대한다고 하는 입장과는 사뭇 결이 다르다.

반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핵'을 입에 올렸다. 그는 지난달 27일 러시아 군에 "핵 억지력 경계 태세를 강화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대해 바이든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이 핵 공격을 할 가능성을 낮게 봤는데 이 판단이 사실인지, 정보전의 일환인지는 알 수 없지만 일단 위안 삼을 수는 있어 보인다.
[베이징(중국)=AP/뉴시스]지난 4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 베이징에서 회담을 가지고 있다. 2022.02.28.

[베이징(중국)=AP/뉴시스]지난 4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 베이징에서 회담을 가지고 있다. 2022.02.28.


금기 깬 '중립국' 스웨덴·핀란드·스위스, 우크라 지원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국의 복잡한 셈법과 '세 불리기'는 진행되고 있다. 특히 스웨덴, 핀란드, 스위스 등 중립국들이 가세한 것이 주목된다.

스웨덴과 핀란드는 이번주 우크라에 대한 무기 지원을 발표했다. 오랜 군사적 비동맹주의 원칙을 깬 것이다. 이들 국가는 EU 회원국이지만 군사 동맹인 나토에는 가입하지 않고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PfP)만 맺고 있다.

마그달레나 안데르손 스웨덴 총리는 지난달 27일 이 계획을 발표하면서 군사 충돌 국가에 무기를 보낸 것은 "1939년 옛소련이 핀란드를 공격한 이래 처음"이라고 했고, 산나 마린 핀란드 총리는 28일 "핀란드에는 역사적인 결정"이라고 그 무게감을 설명했다.

또 러시아의 위협이 고조되면서 스웨덴과 핀란드의 나토 가입 문제가 다시 떠올랐는데 이에 대해 러시아는 "심각한 정치·군사적 결과"를 운운하며 상응하는 대응을 하겠다고 반발했다.

국제법상 '영세중립국'인 스위스도 금기를 깨고 대러 제재에 합류하기로 했다. 이냐치오 카시스 스위스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중립국 지위는 변함이 없다면서도 러시아 항공기 영공 진입 차단, 푸틴 대통령 등에 대한 금융 제재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위스는 지난 2014년 러시아가 '크름반도'를 병합했을 땐 서방의 제재에 동참하지 않았다.
[베를린=AP/뉴시스]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와 발트해 3국 정상이 10일(현지시간) 베를린 총리궁에서 우크라이나 긴장 사태와 관련한 협의에 앞서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기타나스 나우세다 리투아니아 대통령, 숄츠 총리, 크리스야니스 카린스 라트비아 총리, 카야 칼라스 에스토니아 총리. 2022.02.11.

[베를린=AP/뉴시스]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와 발트해 3국 정상이 10일(현지시간) 베를린 총리궁에서 우크라이나 긴장 사태와 관련한 협의에 앞서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기타나스 나우세다 리투아니아 대통령, 숄츠 총리, 크리스야니스 카린스 라트비아 총리, 카야 칼라스 에스토니아 총리. 2022.02.11.


러시아와 우호적인 관계인 터키와 헝가리, 인도 등도 우크라 지지를 공식 표명했다.

러시아·터키 모두와 원만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은 초기 중재에 나섰지만 별 힘을 쓰지 못했고 비교적 일찍부터 우크라에 대한 지지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푸틴 대통령은 실망감을 표시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또 1936년 몽트뢰 조약에 따라 교전국 군함의 흑해 진입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다. 사실상 러시아 군함 통과를 막은 것이다. 러시아·우크라 휴전 협상과 관련해선 러시아가 비합리적인 조건을 내걸고 있다며 평화적인 협상 해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버티던' 빅토르 오르반 헝가리 총리도 당초 입장을 틀었다. 그는 최근까지도 푸틴 대통령을 지지하며 서방의 제재를 비난했지만 최근 개입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취하다 대러 제재를 지원하겠다고 했다. 소극적이던 이스라엘도 푸틴 대통령의 군사 행동 개시에 대해선 비판적인 목소리를 냈다.

인도는 몸을 사리는 모습이다. 인도는 미국, 일본, 호주와 함께 '쿼드'(Quad) 가입국이지만, 최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중국, 아랍에미리트(UAE)와 함께 러시아 규탄 결의안에 기권표를 던졌다.

반면 멕시코는 대러 제재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멕시코 대통령은 1일 기자회견에서 "전 세계 모든 정부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싶다"며 "어떤 경제 제재 조치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다만 이후 멕시코 외교부는 러시아의 침공을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하르키우=AP/뉴시스] 25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하르키우 외곽에 한 군인의 시신이 파괴된 러시아군 방사포 차량 주변에 눈에 덮인 채 놓여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군이 오늘 밤 키예프를 칠 것"이라며 러시아군의 야간 총공세를 예상했다. 2022.02.26.

[하르키우=AP/뉴시스] 25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하르키우 외곽에 한 군인의 시신이 파괴된 러시아군 방사포 차량 주변에 눈에 덮인 채 놓여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군이 오늘 밤 키예프를 칠 것"이라며 러시아군의 야간 총공세를 예상했다. 2022.02.26.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