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SK바이오, '위탁생산 전문' 독일업체 인수…"탑티어 도약"(종합)

등록 2024.06.27 10:51:38수정 2024.06.27 11:28: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안재용 "적절한 가격에 매력적 회사 인수"

CDMO인 IDT 바이오로지카 경영권 확보

"백신CMO사업으로 전환 아닌 추가 확보"

"SK그룹 차원 리밸런싱과 흐름같이 한다"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이 27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4 SK바이오사이언스 기자간담회에서 독일의 IDT 바이오로지카 인수 관련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2024.06.27.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이 27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4 SK바이오사이언스 기자간담회에서 독일의 IDT 바이오로지카 인수 관련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2024.06.2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송연주 기자 = 국내 백신 전문기업 SK바이오사이언스가 백신 위탁생산 글로벌 톱10 수준의 독일 기업을 인수하며 세계 진출을 본격화한다.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은 27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참 좋은 회사를 적정한 시점에 매력적인 가격으로 인수하게 됐다"며 "이번 인수로 바이오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가 확보하게 됐다. 이번 인수는 SK그룹에서 진행 중인 리밸런싱(사업 재편)의 흐름과도 같이 한다"고 밝혔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독일 제약바이오 기업 클로케 그룹과 CDMO(위탁개발생산) 전문회사 IDT 바이오로지카 경영권 지분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 클로케 그룹이 보유한 IDT 바이오로지카 구주 일부와 유상증자를 통해 발행되는 7500만 유로(약 1120억원)의 신주를 포함해 회사 지분 60%를 약 3390억원에 취득하기로 했다.

주식 취득 완료 시 SK바이오사이언스는 IDT 바이오로지카의 최대주주가 된다. 클로케 그룹 또한 IDT 바이오로지카 지분 40%를 유지하는 동시에 약 760억원을 투자해 SK바이오사이언스 지분 1.9%를 신규 확보할 예정이다. 결과적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는 2630억원의 보유 현금으로 인수 절차를 마무리하게 된다.

향후 SK바이오와 클로케 그룹은 IDT 바이오로지카를 공동 운영하며 경영 안정성을 도모할 예정이다.

IDT 바이오로지카는 1921년 설립된 백신 중심의 바이오의약품 CDMO 회사다. 세포유전자치료제 및 항암백신 생산시설도 갖고 있으며 136만㎡(41만평)의 부지가 있다. 암젠, 얀센, 다케다 등 15개 글로벌 제약회사 및 기관을 주요 고객사로 뒀다.

공정·분석법 개발과 함께 백신·바이오의약품 전 영역의 원액·완제를 생산하고 있다. 미국, 유럽뿐 아니라 10개 이상의 의약품 규제기관으로부터 인정받은 트랙 레코드(Track record)를 보유했다. 직원 규모는 약 1800여명이다. 독일 정부와 넥스트 팬데믹을 대비하며 향후 5년간 연간 8000만 도즈의 비축 물량 계약도 확보하고 있다.

지분 인수를 통해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cGMP(미국의 의약품 제조품질 관리기준) 수준의 제조 인프라를 확보하게 된다. 미국, 유럽을 겨냥해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항암 바이러스와 세포유전자 치료제 등 신규 바이오 영역으로 진출할 계획이다.

안 사장은 "우리의 제품 포트폴리오가 넓어지고 지역도 미국, 유럽, 브라질로 확장될 것"이라며 "사노피와 개발 중인 폐렴구균 백신도 IDT에서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IDT는 코로나19 백신을 위탁생산하던 2022년 3억1200만 유로(약 4660억원)로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이후 팬데믹의 일회성 요인이 제거된 지난해에도 약 2억7500만 유로(약 4100억 원)의 매출을 냈다.

다만, 낮은 가동률은 개선이 필요하다. 안 사장은 "IDT는 1억5300만 도즈의 CAPA를 갖고 있으나 가동은 5700만에 그쳐 가동률이 낮다"며 "이 상태로 간다면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우리는 활용 가능한 CAPA가 있다는 것에 주목했다. 빠른 시간 내 가동률을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IDT 바이오로지카의 매출을 2배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영업이익도 매출 대비 20% 이상 수준의 안정적인 구조로 만든다는 목표다.

즉각적인 생산역량 확대도 기대했다. 그동안 부족한 시설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안동 L하우스의 증축 등을 추진해왔다.

안 사장은 "안동 공장은 가동할 수 있는 CAPA(생산역량)가 꽉 차서 증설해야 하는데 시간이 많이 든다"며 "이번 인수로 최고 수준의 설비를 5년 이란 시간과 함께 사게 됐다"고 말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양사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파트너십 네트워크의 비약적 확장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세포유전를 포함한 백신 외 바이오 의약품으로의 사업 확장이 가능해짐에 따라 신규 시장 진출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는 목표다.

안 사장은 "기존 대주주와의 공동 경영으로 글로벌 탑티어 회사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