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주민들 "구덕운동장 아파트 건립 반대"…부산시 요지부동

등록 2024.06.27 11:59:12수정 2024.06.27 13:02: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주민협, 집회·서명운동 이어 27일 기자회견

부산시, 앞서 사업 추진 장점 등 설명자료

[부산=뉴시스] 김민지 기자 = 27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구덕운동장 아파트 건립 반대 주민협의회는 기자회견을 열고 구덕운동장 일대 재개발안에 포함된 아파트 건립에 대한 반대 의사를 표하고 있다. 2024.06.27. mingya@newsis.com

[부산=뉴시스] 김민지 기자 = 27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구덕운동장 아파트 건립 반대 주민협의회는 기자회견을 열고 구덕운동장 일대 재개발안에 포함된 아파트 건립에 대한 반대 의사를 표하고 있다. 2024.06.27. [email protected]


[부산=뉴시스]김민지 기자 = 부산 서구 구덕운동장 재개발 사업안에 포함된 수백 세대의 아파트 건립을 두고 구 주민들은 또다시 반대 의사를 피력했지만, 부산시는 요지부동의 행태를 보이고 있다.

구덕운동장 아파트 건립 반대 주민협의회(협의회)는 27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구덕운동장 재개발 사업은 제대로 된 도시재생사업으로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협의회는 "시는 예산도 없는데 구덕운동장에 전용 축구장을 짓겠다고 한다"며 "부동산 리츠 사업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아파트와 오피스텔을 지어 돈을 갚겠다는 발상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시는 구덕운동장 공원 일대의 토지와 건설 예정인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건물을 팔아 97%의 사업비를 회수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며 "주민들은 이러한 사업 내용을 부동산 투자 사업으로 오해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협의회는 또 시와 지자체장 등의 일방적인 행태를 지적하기도 했다. 협의회는 "구덕운동장과 공원을 허물고 사업 예산 마련용 아파트 건설을 반대하는 구 주민들을 마치 재개발 자체를 반대하는 일부 세력인 것처럼 퍼트리는 시와 지자체장의 유언비어, 날조 행위를 즉각 멈춰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협의회는 상황에 진전이 없을 시 부산 내 공공 난개발 지역으로 언급되는 이기대공원, 수영만요트경기장, 우암동 부산외국어대 부지 등과 함께 연대 행동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지난 5월 말 조직된 협의회는 주민 집회와 서명 운동, 1인 시위 릴레이 등을 진행해 오고 있다. 협의회가 실시간 '구덕운동장 아파트 건설 반대 서명 운동'에 1만7220명(지난 1일부터 21일까지)이 참여했으며, 이는 서구 주민 약 16%에 해당하는 인원이다.

[부산=뉴시스] 부산시가 국토교통부 '혁신지구 국가시범지구' 공모 신청에 제출한 구덕운동장 일대 재개발안. 2024.06.26. (그림=부산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뉴시스] 부산시가 국토교통부 '혁신지구 국가시범지구' 공모 신청에 제출한 구덕운동장 일대 재개발안. 2024.06.26. (그림=부산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편 시는 전날 자료를 통해 구덕운동장 복합개발의 도시재생혁신지구 추진 장점 등을 설명했다.

시는 국토부의 혁신지구 선정으로 국비·주택도시기금 등 사업비 확보를 비롯해 타당성 조사, 투자심사 등 일부 행정절차가 면제되는 이점이 있다고 밝혔다.

아파트 건립과 관련해서는 해당 사업의 총사업비가 7990억원으로 사업비 확보를 위해 수익시설을 설치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시는 현재의 사업 계획안은 사업 구상안으로 구체적인 도입 시설 및 규모, 건축 계획 등은 조정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시가 지난 7일 국토부의 '혁신지구 국가시범지구' 공모 신청에 제출한 구덕운동장 일대 재개발안에는 전용 축구장 조성, 총 4개동 850세대 규모의 아파트 건립 등이 포함돼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