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대전청년내일재단 청사 매입 감정가 '짜맞추기 의혹'

등록 2024.07.24 10:32:3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대전시 2개 감정평가 131억원 산정…건물주 제시 금액과 같아

"접근성 떨어지고 안전 취약 건물 굳이 매입하려는 의도 몰라"

[대전=뉴시스]대전시청사 전경. 2024. 07. 24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뉴시스]대전시청사 전경. 2024. 07. 24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뉴시스]곽상훈 기자 = 대전시가 대전청년내일재단 청사로 쓰기 위해 매입키로 한 건물의 감정가가 건물소유주가 제시한 금액과 똑같은 것으로 드러나 짜맞추기식 매입이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통상적으로 대규모 사업과 대형건물을 매입하는 과정에선 3개 법인의 감정평가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과는 달리 소유주 감정평가를 받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이 같은 의혹을 키우고 있다.

24일 시 관계자에 따르면 시는 청년내일재단 청사매입을 위해 서구 갈마동에 있는 5층 건물을 총 131억원(리모델링 10억원 제외)에 매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시가 염두에 두고 추진한 건물은 대지면적 3010.3㎡, 연면적 5290.48㎡ 규모의 지하 1층, 지상 5층 짜리로 대전지역 모 언론사 건물이다.

시는 이 건물을 사들여 대전지역 곳곳에 산재돼 있는 청년활동 공간을 한 곳으로 응집시켜 청년정책 및 활동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이 언론사 건물에는 청년내일재단과 청춘두두두가 1억1345만원의 임차료를 주고 사용 중이다.

청사 활용계획을 보면 1층은 기존처럼 청년활동공간, 2층은 청년 구직 관련 프로그램 공간, 3층은 청년창업 공간, 4층은 청년내일재단 사무실, 5층은 강의실과 회의실, 지붕층은 카페(만남의 장) 등이 들어선다.

하지만 이 언론사 소유 건물주는 연초 토지와 건물 매입비로 131억원을 대전시에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는 리모델링비 10억원을 포함해 최고추정가를 141억원으로 잡고 오는 12월 제2회 추경 때 예산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이 건물의 감정평가를 위해 3개 법인의 감정평가를 진행할 예정이었지만 소유자 의뢰 평가를 제외한 채 2개 감정평가를 받아 131억원의 매입가를 확정한 후 최종 매입계획을 수립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금액은 소유주가 대전시에 제시한 금액으로 짜맞추기 매입 의혹을 사고 있다.
 
시 관계자는 "법인의 경우 1년에 한번씩 감정평가를 하기 때문에 소유자도 131억원의 감정가를 제시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러나 또 다른 시 관계자는 "8월 중으로 소유자 감정평가를 의뢰한 후 제시된 3개 감정평가 결과를 토대로 산술평균을 낸 다음 적정가액을 협의해 매입을 진행할 것인지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부동산 업계에선 “소유자가 제시한 금액에 맞춰 감정평가액을 산정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면서 “소유주가 제시한 금액과 시의 감정평가액이 일치한다면 짜고 치는 고스톱이 아닐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일부에선 이장우 시장이 강조해온 원도심 활성화와도 거리가 먼 청사 매입이란 지적도 나온다. 이 시장이 원도심 활성화 차원에서 시 산하기관의 원도심 이전을 독려하는 상황에서 접근성이 떨어진 데다 노후된 건물을 매입하는 게 적절하느냐는 주장이다.

이 건물은 지은 지 30년이 된 건물로 시가 공공시설로 매입할 경우 안전진단 대상 건물이지만 안전진단 조차 취약한 건물을 왜 취득하려는지 의아스럽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매입 가격 또한 논란거리다. 대전시 감정평가 131억원은 주변 시세와 비교해도 비싸다는 평이다.

주변의 땅값이 평(3.3㎡)당 500만원 이하 선에서 거래된다는 점에서 땅값만 90억원이 책정된 것도 의문이라는 것이다.

인근 공인중개사에 따르면 "큰 도로를 끼고 있는 경우 평당 500만~700만원 선에서 거래가 성사되지만 큰 부지의 경우 평당 단가가 떨어지는 추세“라며 ”이런 상황을 감안하면 900여 평의 부지에 50억원에 못 미치는 금액이 나온다“고 했다.

임민태 대전시 청년정책과장은 “청년내일재단 청사 매입건물로 왜 하필이면 언론사냐라고 하면 할 말이 없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