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금융사기 잡아라"…금융 플랫폼, 예방·보상 서비스 고도화

등록 2025.03.28 07:00:00수정 2025.03.28 09:14:2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사전 방지 시스템 가동…피해액 사전 보상도


[서울=뉴시스]권안나 기자 =
공공기관 사칭과 스미싱 등 금융사기로 인한 피해 형태가 나날이 다양해지고 있는 가운데, 디지털 기반 금융 기업들은 소비자 피해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페이, 토스 등 디지털 금융사들은 사기가 의심되는 금융 거래를 포착해 사전에 방지하고, 피해액을 선보상하는 등 다양한 보호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365일 연중무휴로 이상거래감지시스템(FDS)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관련 조직을 별도로 운영중이다. 카카오페이 송금 서비스 이용 시에는 상대의 사기 의심 이력을 파악할 수 있는 '사기 이력 탐지기'가 작동돼 송금 주의 메세지로 안내한다. '계좌 지킴이'를 통해 자산관리에 연결된 계좌의 도용 여부와 사기 의심 계좌 등록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카카오페이 애플리케이션(앱) 사용 시 잠재적 위협을 탐지해 개인정보 유출, 금융정보 도용이나 피칭 피해 등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통합 보안 솔루션도 가동한다. 보이스피싱 자금이 카카오페이 계정으로 입금되는 등 피해의심거래 계좌로 판단되면 해당 계정을 차단하는 등 피해자 보호 프로세스를 운영 중이다.

외환 솔루션 기업 센트비도 신종 금융사기 수법 및 불법이용 패턴을 지속적으로 분석해 FDS를 고도화하고 있다.



센트비의 FDS는 사용자의 거래 패턴과 접속 위치, 과거 거래 내역 등 다양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365일 모니터링∙대응 시스템을 통해 거래 생성 단계에서부터 이상 징후를 탐지하며, ▲이체 지연 ▲자금 동결 ▲계정 차단 등 즉각적인 조치를 수행한다.

세계의 다양한 국가들과의 거래를 중개하는 만큼, 송금 국가별로 금융 사기 패턴을 고려한 맞춤 탐지 규칙을 적용해 지속 업데이트하고 있다. 금융기관 및 수사기관과도 협력해 사기 계좌 정보를 공유받고, 새로운 사기 패턴이 발견되면 이를 탐지 규칙에도 즉각 반영한다.

금융사고가 발생한 소비자의 피해를 먼저 보전해주는 제도도 있다. 토스가 운영하는 '안심보상제'다. 토스가 금융사고로부터 고객을 보호하기 위해 지난 2020년 업계 최초로 도입했다.

보이스피싱, 명의도용, 중고거래 사기, 분실·도난·탈취 등 토스에서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금융사고에 대해 회사의 잘못이 없더라도 선제적으로 피해 금융을 보상한다. 토스 사용자라면 누구나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금융사고는 1회 5000만원, 중고사기는 50만원까지 보상받을 수 있다.

한편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발표한 지난해 문자사기(스미싱) 신고 건수는 219만6469건으로 전년 대비 4.3배나 급증했다. 지난해 하반기 금융감독원에 접수된 보이스피싱 피해액도 9월 249억원에서 12월 610억원으로 3개월간 2.4배 증가했다.

업계 관계자는 "금융 사기 수법이 다양해지면서 노년층, 사회초년생 등 금융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피해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며 "사기 예방과 피해 최소화를 위해 소비자와 기업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mymmnr@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