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AI 기반 암·골절·당뇨 예후 관리 서비스 개발 추진
의료AI 혁신 생태계 조성(닥터앤서3.0) 사업 공모 31일부터 실시
병원과 가정 연계한 연속적인 건강관리 지원에 초점 맞춰 기획
![[서울=뉴시스]](https://img1.newsis.com/2022/09/23/NISI20220923_0001092084_web.jpg?rnd=20220923141313)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송혜리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과 질병 치료를 마친 환자의 예후 관리를 인공지능(AI)이 도와주는 '의료AI 혁신 생태계 조성(닥터앤서3.0)' 사업의 공모를 31일부터 실시한다고 밝혔다.
의료AI 혁신 생태계 조성(닥터앤서3.0) 사업은 환자가 병원 치료·퇴원 이후 일상에 복귀했을 때 질병 재발이나 상태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건강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AI 기반 예후 관리 서비스 개발·실증 사업으로 올해 신규로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그간 의료 분야에 AI 기술을 접목해 의료진의 질병 진단과 치료 활동을 보조하는 서비스 개발을 위한 '닥터앤서' 사업을 추진 해왔다. 이번 '닥터앤서3.0' 사업은 AI 기술이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보조를 넘어 병원과 가정을 연계한 연속적인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데에 초점을 맞춰 기획됐다.
암, 골절과 같은 재활치료가 중요한 질환, 피부·호흡기 질환, 비만·당뇨 등 일상에서의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질환을 대상으로 의학적 임상 근거에 기반한 예후 관리 서비스의 개발과 실증을 목표로 한다. 또 환자나 보호자가 직접 일상에서 스마트폰이나 상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통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친화적 형태로 개발할 예정이다.
올해에는 공모를 통해 약 22억원 규모의 1개 과제를 수행할 컨소시엄을 선정한다. 개발되는 AI 솔루션의 안전성과 유효성,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과 검증 절차가 필요한 점을 고려해 최대 4년 간 지원한다. 이 과정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협업을 통해 의료기기로 개발되는 서비스의 인허가를 지원해 신속하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추진할 예정이다.
사업 참여에 관심이 있는 ICT 기업은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질환별 양질의 의료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성능평가·실증, 타 의료기관으로의 확산 등을 추진할 수 있는 의료기관(참여 필수), 연구기관·대학 등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지원할 수 있다.
김경만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최근 공급자(병원 치료) 중심에서 수요자(환자 맞춤형 건강관리) 중심으로 의료서비스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데 AI를 통해 좀 더 사용자 친화적이고 개인화된 보건의료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의료 분야에 우리 기업이 보유한 디지털 역량을 접목한 혁신 서비스를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민들이 혁신 기술의 혜택을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chewoo@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