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의협, 尹파면 후 '투쟁·대화' 투트랙 구사…혼선 수습은?

등록 2025.04.07 17:56:1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의협 "정책결정권자 부재 불확실성 사라져"

일부 강경파 "모든 의료 정책 즉각 중단을"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1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모습. 2025.04.01. yes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1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모습. 2025.04.01. yes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후 대한의사협회(의협)가 투쟁 강도를 높이고 있다. 의협이 정부를 상대로 대화와 투쟁, 투트랙 전략을 구사하기로 한 가운데, 일부 강경파들을 어떻게 끌어안아 한 목소리를 낼 것인지 주목된다.

7일 의료계에 따르면 의협은 오는 13일 전국 의사대표자 회의, 20일 대규모 집회인 전국의사궐기대회(가칭)를 개최하는 '투쟁 로드맵'을 구체화했다.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 해체, 의정갈등 책임자 문책 등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 증원 등 의료개혁을 주도해온 윤 전 대통령이 물러나면서 정부, 국회와의 대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의협 관계자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차기 정부가 출범할 때까지 국정을 책임지게 되는 만큼 (윤 전 대통령 파면으로)정책 결정권자 부재로 인한 불확실성이 사라졌다"고 말했다.

1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의정 갈등을 봉합하려면 의료계는 의사단체 대표들이 내부 목소리를 담은 단일 협상안을 마련해야 한다. 문제는 일부 강경파들이 정부와의 대화 가능성을 열어뒀지만 "모든 의료정책 중단"을 촉구하는 등 정부와 입장차가 커 의정 간 협상 테이블을 꾸리는 게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의협 부회장을 맡고 있는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4일 페이스북을 통해 "이제 수습의 시간"이라면서 "현 정부는 윤석열의 독단으로 실행됐던 모든 의료 정책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는 보다 유연하고 책임 있는 자세로 의료계와의 신뢰 회복에 힘써야 한다"면서 "사태 해결을 위한 건설적인 대화의 장이 열리길 바란다"고 말했다.

의협도 같은 날 윤 전 대통령 탄핵 선고 관련 공식 입장을 밝혔지만 다소 결이 달랐다.

의협은 "지난 1년 이상 지속돼온 의료농단 사태의 종식을 기대한다"면서 "의개특위 등에서 추진되던 잘못된 의료정책들을 중단하고, 의대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등을 합리적으로 재논의해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의료현장과 교육현장으로 돌아오는 단초가 마련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의대생이 전원 복귀하면 내년 의대 정원을 증원 전 수준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이달 말까지 내년 의대 정원을 확정해야 한다.   그러나 수업 참여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본과 3~4학년과 달리 등록만 하고 수업을 거부하는 저학년(예과 1~2학년)이 많아 대규모 유급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오는 8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 지하 1층에서 브리핑을 열고 윤 전 대통령 파면으로 의정 갈등이 새 국면을 맞이한 데 따른 의료계의 입장과 투쟁 방향 등에 대해 밝힐 예정이다.

의료계 내부에선 사태 해결을 위한 의정 간 대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김재연 대한산부인과의사회 회장은 "정부는 의협이 제시하는 협상안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하고, 5월 이전에 실질적인 합의를 도출해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의료 현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positive100@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