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에너지도 '지산지소'…분산에너지로 지역경제에 훈풍 부나

등록 2024.03.15 05:00:00수정 2024.03.15 05:49:2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분산에너지 시스템, 지역 경제와 커플링 돼야"

에너지, 쓰는 곳에서 생산…지역 불균형 해소

규제 특례 '특화지역', 울산·제주 등 10곳 관심

[세종=뉴시스]제33차 전력정책포럼에서 김형중 에너지공단 분산에너지실장이 발제하고 있다.(사진=대한전기협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제33차 전력정책포럼에서 김형중 에너지공단 분산에너지실장이 발제하고 있다.(사진=대한전기협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손차민 기자 =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분산에너지법)'이 오는 6월 본격적인 시행을 앞둔 가운데, 분산에너지를 통해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다는 제언이 나왔다. 이에 규제 특례가 적용되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에 도전하기 위한 지방자치단체들의 움직임도 분주하다.

15일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대한전기협회와 에너지공단은 최근 '제33차 전력정책포럼'을 열었다. 이 자리에서 김형중 에너지공단 분산에너지실장은 '분산에너지특별법과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에 대해 발제했다.

김 실장은 "분산에너지 시스템은 에너지를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활용하면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우선 분산에너지 시스템 하에서는 전력 수급의 안정성이 높아지고, 송배전 손실이 줄어든다고 강조했다.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에너지 효율성도 커질 수 있다.

산업 측면에서는 반도체·이차전지 등 첨단산업과의 연계가 강화되며, 지역 거점 산업의 육성을 유도하는 장점이 있다. 분산에너지 관련 에너지 신산업의 후방 산업이 활성화될 수도 있다.

최근 지자체들이 기업 투자 유치에 사활을 거는 상황에서, 데이터센터(IDC)·소부장 특화단지가 유치된다면 지역 일자리가 창출되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지역 특성을 반영한 산업과 분산에너지가 결합한다면 경제적인 시너지 효과가 커진다는 것이다.

[세종=뉴시스]분산에너지 그래픽이다. (사진=에너지공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분산에너지 그래픽이다. (사진=에너지공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분산에너지는 '지역에서 사용할 에너지는 그 지역에서 생산하자'는 '지산지소(地産地消)'에서 출발했다. 연료전지·수소·태양광·소형모듈원전(SMR) 등으로 만든 소규모 에너지를 인근의 수요지에 바로 공급하는 게 핵심이다.

우리나라의 전력 시장 구조는 중앙집권형이다. 해안가 지역을 중심으로 화력·원자력 발전소를 짓고 전력 수요가 많은 수도권으로 송배전하는 형태다. 이런 지역간 에너지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제시된 게 분산에너지다.

전력은 공급과 수요가 일치하지 않으면 블랙아웃(대규모 정전)이 발생한다. 전력 수요에 공급이 미치지 못해도 문제지만, 전력 수요보다 공급이 지나쳐도 문제다.

분산에너지 관점에서 보면 지역에서 생산한 에너지를 그 지역에서 모두 쓸 수 있을 만큼 산업을 유치해야 한다.

분산에너지와 첨단 산업을 연계하는 움직임은 이전부터 지속돼 왔다. 최근 삼성전자는 반도체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수를 버리지 않고 지역난방을 위한 열에너지로 활용하기 위해 한국지역난방공사와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도 이런 움직임을 뒷받침하기 위해 에너지 절약시설 설치 융자 사업, 온실가스 감축설비 보조금 지원 사업, 산업단지 에너지 자급 인프라 구축 사업 등을 통해 민간 투자를 지원 중이다.

[세종=뉴시스]특화지역 계획 검토 절차 그래픽이다.(사진=에너지공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특화지역 계획 검토 절차 그래픽이다.(사진=에너지공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정부는 규제 특례가 적용되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을 도입해 지원에 나선다.

산업부는 지자체가 수립한 특화지역 계획을 살펴보고 연내 특화지역을 지정할 계획이다. 기술성·경제성이 모두 담보되는지, 지자체와 기업이 협업해 설계하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특화지역에서는 분산에너지 사업자가 생산한 전기를 직접 전력 사용자에 공급할 수 있다. 현행과 같은 송배전 시스템과 비교해 배전망 이용 부담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기업 입장에서는 더 낮은 전기요금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셈이다.

지역경제 활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지자체들의 관심도 높은 상태다.

예컨대 울산은 미포·온산 국가산업단지 등 대규모 국가산단과 데이터센터가 있어 전력 수요가 큰 지역이다. 에너지 다소비 기업들의 탈탄소 전환에 분산에너지가 힘을 실어줄 것이란 기대감이 높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을 구상하는 또 다른 지역엔 제주가 있다. 제주는 최근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이 수요보다 넘쳐나며 출력제어가 빈번한 상황이다. 분산형 전원인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통해 잉여 전력을 활용하려는 복안을 갖고 있다.

울산과 제주를 포함해 경기, 부산, 대전, 경북 등 10곳의 지자체가 각 지역의 산업·발전 특성을 감안한 모델을 개발 중이다.

[울산=뉴시스] 배병수 기자 = 김두겸 울산시장이 14일 오전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의 핵심 측인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신청을 위한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2023.06.14. bbs@newsis.com.

[울산=뉴시스] 배병수 기자 = 김두겸 울산시장이 14일 오전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의 핵심 측인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신청을 위한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2023.06.14. [email protected].


이외에도 정부는 인센티브, 규제 개선 방안 등 제도적 지원도 검토하고 있다. 지난달 김동일 기획재정부 예산실장은 에너지 신산업 스타트업을 방문해 "내년도 에너지 분야 재정투자에 있어 원전 등 무탄소 전원 활성화를 우선순위에 놓고 지원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이 자리에서 기업들은 정책자금 등 인센티브, SMR과 탄소포집·저장·활용(CCUS) 등 신기술 개발·실증을 위한 연구개발(R&D), 통합발전소 등 분산형 전력시스템 인프라 구축과 관련한 정책 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분산에너지법이 시행되기 전이지만 분산에너지 지원에 대한 기업·지자체의 수요가 큰 만큼 정책 지원은 선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는 분산자원 활용 플랫폼 구축 등을 돕기 위해 올해 '미래 지역에너지산업 생태계 활성화' 사업 예산 100억원을 편성했다. 중소·중견기업이 주축이 돼 지자체와 함께 컨소시엄을 꾸려 해당 사업에 신청하면 된다.

김형중 실장은 "에너지시스템은 지역 산업과 연계해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고도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며 "분산에너지 시스템은 지역 경제와 커플링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제주에너지공사가 운영 중인 동복·북촌 풍력발전단지. (사진=제주에너지공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에너지공사가 운영 중인 동복·북촌 풍력발전단지. (사진=제주에너지공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