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넷플릭스 끼워 보세요? 이젠 옛말"…케이블방송보다 비싸진 OTT

등록 2023.10.22 08:10:00수정 2023.10.22 08:16:4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넷플릭스·디즈니+ 등 글로벌 OTT 구독료 인상 행진

주류 미디어로 자리잡는 OTT…'코드커팅' 가속화 전망

[서울=뉴시스] 지난 20일 공개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이두나!' 스틸컷 (사진=넷플릭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지난 20일 공개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이두나!' 스틸컷 (사진=넷플릭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윤정민 기자 = #"끊을까 말까." 인천 서구에 사는 이모(37)씨는 집에서 보던 케이블TV 약정 기간이 다가오면서 고민이 시작됐다. 부부가 맞벌이하느라 거실 TV는 주로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시청하는데 쓴다. TV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도 주말에 OTT로 몰아본다. 넷플릭스 외에 국내 OTT 서비스도 보는데 점점 비싸지는 구독료도 부담이다. 굳이 보지도 않는 실시간 방송을 위해 매달 케이블 방송료까지 내야 할까 싶다.

한때 유료 방송의 부가 서비스로 인식됐던 OTT가 주된 주류 미디어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다. OTT 사용자들이 늘면서 월 구독료도 계속 오른다. 이제는 케이블TV 등 유료방송 이용 요금을 넘어선다.

넷플릭스·디즈니 플러스 '인상' 또 '인상'…케이블보다 비싼 OTT

[서울=뉴시스] 왼쪽부터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CI (사진=각 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왼쪽부터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CI (사진=각 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넷플릭스는 최근 미국, 영국, 프랑스 등지에서 월 구독료(베이식·프리미엄 멤버십)를 인상했다. 인상률은 15~20%. 3개국 프리미엄(최대 4K 화질 제공) 구독료는 원화 기준으로 3만원대 안팎이다.

한국 서비스 구독료 인상계획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하지만 2021년 11월 이후 2년간 구독료 인상이 없었던 만큼 인상 여지는 충분하다. 넷플릭스가 이번 미국, 영국, 프랑스에 적용했던 인상률을 한국에 반영할 경우, 광고 없는 멤버십 예상 구독료는 1만1000~2만원 사이가 될 전망이다.

이렇게 되면 넷플릭스 구독료가 케이블TV 요금과 비슷하거나 비싸진다. LG헬로비전, KT스카이라이프, 딜라이브 등 종합유선방송(SO)·위성방송 플랫폼 요금제(셋톱박스 임대료 제외) 가격은 월 1만5000원대 안팎이다. 채널 수에 따라 저렴한 걸 선택하면 8000~9000원대에도 케이블TV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 휴대전화 또는 인터넷 상품과 결합하면 TV 상품 요금은 더 내려간다.

디즈니플러스도 다음 달부터 구독료를 올릴 예정이다. 지난 3~4년간 구독료 인상이 한차례도 없었던 토종 OTT(티빙, 웨이브 등)가 요금 인상 대열에 합류할 경우 OTT 월 최소 구독료는 1만원 초중반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OTT 이용자 중 상당수가 2개 이상의 OTT에 동시 가입된 복수 사용자들이다. 이를 감안하면 가정당 OTT 월 구독료는 이미 유료방송 수준을 넘어선 것으로 보는 시각도 적지 않다. 

"OTT와 유료방송을 함께?…차라리 OTT만 본다"

수퍼톤은 고유 기술인 ‘다화자 음성 모핑 기술’을 활용해 마스크걸의 김모미 역을 맡은 배우 나나와 이한별의 목소리를 조합했다고 30일 밝혔다. (사진=하이브) *재판매 및 DB 금지

수퍼톤은 고유 기술인 ‘다화자 음성 모핑 기술’을 활용해 마스크걸의 김모미 역을 맡은 배우 나나와 이한별의 목소리를 조합했다고 30일 밝혔다. (사진=하이브) *재판매 및 DB 금지




OTT 구독료 인상은 OTT가 주류 미디어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다. 케이블TV·IPTV 등 유료방송의 보완재가 아니라 대체제가 되고 있다는 얘기다.

무엇보다 미디어 소비 패턴이 빠르게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드라마·연예 프로그램 등 과거엔 보고 싶은 방송 콘텐츠가 있다면 편성 시간에 자신의 스케쥴을 맞춰야 했다면, 이젠 OTT 덕분에 시청자가 원하는 시간에 언제든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본방 사수'의 시대가 저물고 있는 것이다.

시청자들 사이에 회자되는 영상 화제작들도 대부분 지상파·종편가 아닌 OTT 오리지널 콘텐츠들이다. '더 글로리', '디피(D.P.)2', '마스크걸'(이상 넷플릭스), '카지노', '무빙'(이상 디즈니플러스), '방과 후 전쟁활동'(티빙), 'SNL 코리아'(쿠팡플레이) 등이 대표적이다.

가정내 유료방송을 해지하는 이른바 '코드커팅'이 국내에서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실제로 국내 유료방송 가입자 수는 정체기에 접어들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유료방송 가입자 수는 3624만8397명으로 전 반기 대비 0.67%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인터넷TV(IPTV)가 성장했지만 케이블TV 등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들의 감소폭을 메우지 못한 탓이다.

유료방송업계 "OTT와 공정한 경쟁 위해 규제 완화 필요"

케이블방송 사업자를 비롯해 유료방송 업계도 바짝 긴장하고 있다. 무엇보다 요금·편성 자율성과 콘텐츠 수위 등 모든 면에서 자유로운 글로벌 OTT와 비교해 국내 유료방송 업계는 각종 규제로 덧칠돼 있어 공정 경쟁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입을 모은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동일한 시장을 두고 사실상 규제가 전무한 글로벌 공룡과 요금과 콘텐츠 면에서 무거운 공익 규제를 받는 국내 기업들이 불공정한 룰로 싸우고 있는 모양새"라며 "의무채널 편성 제도 폐지 등 규제 완화가 우선적으로 전제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