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MZ세대, 부의 불평등 심각한 사회문제 인식"
딜로이트 '밀레니얼과 Z세대 서베이' 보고서
'2021년 밀레니얼과 Z세대 서베이' 보고서 설문조사에서 '사회의 부가 균등하게 분배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사진 = 딜로이트안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 딜로이트 그룹은 경제, 사회·정치적 환경 전반에서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인식 변화를 조사한 딜로이트 글로벌의 '2021 밀레니얼과 Z세대 서베이' 보고서를 공개했다고 22일 밝혔다.
올해로 10회째를 맞는 딜로이트 글로벌의 밀레니얼과 Z세대 보고서는 올해 2월8일부터 18일까지 조사 기간 동안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 45개국 2만2928명의 밀레니얼 세대(1983년~1994년 출생자)와 Z세대(1995년~2003년 출생자)를 대상으로 설문, 인터뷰 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밀레니얼과 Z세대는 부의 불평등을 심각한 사회 이슈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밀레니얼 세대의 69%, Z세대 표본집단의 66%가 사회 전반에서 부와 소득이 평등하게 분배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한국의 경우 글로벌 비율을 훨씬 상회하는 수치인 73%(밀레니얼 세대), 76%(Z세대)가 동의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의 밀레니얼과 Z세대는 불평등의 원인으로 부유층에 호의적인 법, 규제, 정책을 지목하면서도 이를 개선하기 위한 재분배 정책 및 규제 입안에 대해서는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임직원 급여와 최고 급여를 받는 경영진 간 소득 차이를 줄이는 법안, 부유층에 대해 높은 세금을 부여하는 법안, 최저임금 보장하는 법안, 저소득층에 직업 훈련을 지원하기 위한 자금 정책, 최저생계소득 보장 정책 등에 대해 글로벌 밀레니얼과 Z세대는 과반이 넘는 비율로 동의했다.
반면 한국의 밀레니얼과 Z세대의 동의 비율은 크게 떨어졌다. 부의 재분배에 있어 정부 개입이 필요하다고 답한 글로벌 밀레니얼과 Z세대과는 대조되는 모습이다.
이외에도 한국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는 경제성장과 고용문제를 가장 중요한 사회 문제로 인식한다고 답했다. 두 세대 모두 코로나19로 인한 공중보건과 질병 예방이 가장 중요한 사회 문제로 공감했으나 밀레니얼은 경제성장, 기후변화 순으로 중요도를 인식한 반면 Z세대는 경제 성장과 고용문제 순으로 중요도를 두는 등 사회 이슈에 대해 상이한 견해를 보였다. 특히 한국 Z세대가 고용문제에 대해 느끼는 중요도는 30%로 글로벌 Z세대(25%)보다 높았다.
코로나19로 인해 글로벌 밀레니얼과 Z세대는 미래 재정 상태에 대한 걱정과 우려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3분의 2가 개인 재정 상태에 대해 '자주 걱정하고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답했으며 코로나19 이후 재정 목표를 재검토하고 변경했다고 했다.
한국의 경우 개인의 재정상태에 대한 우려를 표하면서도 글로벌 밀레니얼과 Z세대와 달리 가까운 미래의 경제 상황에 대해 긍정적으로 전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12개월 동안 경제 상황이 더욱 나빠질 것이라고 예상한 비율은 글로벌 밀레니얼의 경우 2019년 30%, 지난해 33%에서 올해 43%로 답변 비율이 크게 높아진 반면 한국 밀레니얼 세대는 2019년과 지난해 43%로 비슷한 수준에서 올해 40%로 소폭 줄었다.
한국 Z세대도 지난해 45%가 갈수록 경제가 나빠질 것으로 전망했으나 올해 38%로 거시 경제 전망에 대한 우려가 감소했다.
향후 12개월 동안 경제 상황이 좋아질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글로벌 밀레니얼의 경우 2019년 26%, 지난해 28%에서 올해 27%로 소폭 감소했다. 반면 한국 밀레니얼의 경우 2019년과 지난해 13%의 동일한 비율에서 올해 22%로 경제 상황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응답자 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Z세대도 지난해 14%에서 올해 21%로 늘어났다.
정현석 딜로이트 컨설팅 코리아 부사장은 "MZ세대는 개인의 성공과 실패 여부에는 개인의 학벌, 부의 세습, 젠더 등 선천적인 요소들이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해 개인의 노력과 성과만을 강조하는 성과주의 기반의 기업 운영으로는 MZ세대와의 공생에 한계가 존재할 것"이라며 "수평적 조직문화와 공정한 평가로 성과를 분배하고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는 기업 운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