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송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등 6건 전남도 문화재 지정

등록 2022.03.21 13:13:2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담양 몽한각 소장 숭례문과 후적벽부 목판 등

[무안=뉴시스] 순천 송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재판매 및 DB 금지

[무안=뉴시스] 순천 송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재판매 및 DB 금지


[무안=뉴시스] 박상수 기자 = 전남도는 순천 송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담양 몽한각 소장 숭례문과 후적벽부 목판 등 6건을 도 유형문화재로 지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순천 송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유형문화재 제349호)은 조성 발원문이 확인돼 조성 연대(1640년·인조 18년), 조성 동기, 참여 인물, 조각승 등이 정확히 밝혀져 불교 조각사 연구의 중요 자료로 평가받는다. 17세기 중반 불상과 양식이 유사하고 보존 상태도 양호하다.

담양 몽한각 소장 숭례문과 후적벽부 목판은 양녕대군의 친필로 전해진다. 후손들이 서울 지덕사 소장본을 모본으로 해 1887년(고종 24년) 9월 몽한각에서 다시 판각한 인출본 목판으로 서예사 연구의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탁월하다. 국보인 서울 숭례문의 현판보다 자형과 필획의 균형감이 높다. 초서의 정형성을 탈피해 자유분방하면서도 기운이 약동하는 서격으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이번에 함께 지정된 곡성 관음사 동종과 광명대는 2013년 관음사 경내 발굴조사에서 확인됐다. 12~13세기 원통전에서 사용한 불구(佛具)로 추정된다. 고려시대 양식의 특징이 잘 나타나 문화재로 지정해 보존할 가치가 높다는 평가다.

곡성 명산정사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는 1532년(중종 27년) 경상도 팔공산 은해사에서 왕실본을 저본(문서의 초벌 원고)으로 삼아 복각 간행한 판본이다. 조선 전기 불교의례(수륙재)의 일면을 살필 수 있다. 또한 판각 시기(가정 11년), 화주, 각수 등이 정확히 확인되고 있어 임진왜란 이전 간행한 불서 판본 연구의 참고가 되는 귀중본으로 지정 가치가 높다.

해남 태영사 석조석가삼존불좌상은 총 3구로 조성 발원문이 확인돼 조성 연대(1724년·경종 4년), 조성 장소, 참여 인물, 조각승 등이 정확히 밝혀졌다. 조선 후기 석조불상으로는 희귀해 불교 조각사 연구의 중요 자료로 평가받는다.

광양 최산두 종가 고문서는 조선 전기 문신이자 학자인 신재 최산두와 그의 손자 최종원과 처, 증손 최득린, 현손 최호립 등 4대에 걸친 것으로, 관직 임명 제도사 이해에서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일부 자료는 조선왕조실록 기사에서도 확인돼 지정 가치가 높다.

전남도 관계자는 "문화유산의 체계적 보존과 효율적 활용을 위해 신규 자원 발굴과 지정 확대, 국가지정문화재 승격 지정 등을 지속해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남도는 보성 문재도 관련 고문서도 유형문화재로 지정 예고했다. 앞으로 예고기간인 30일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정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